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전두환과 노태우

5·18조사위원장 ‘80년 5월 발포·진압’…“전두환 주도성·중심성 증언확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송선태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장(외쪽)이 13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하고 있다.[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광주)=황성철 기자] 송선태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장은 오늘(13일) 광주 5·18 당시 진압 작전 및 발포 책임 소재와 관련해 “전두환 씨의 핵심 측근들의, 전두환의 주도성, 중심성에 대한 증언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진상조사위의 조사 결과에 대해 “광주에서 26개소·54회 발포가 있었고, 그 발포와 진압 작전에 있어서 전두환 씨의 주도성·중심성이 무엇으로 입증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착안해 조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광주에 진압군으로 투입됐던 군부대가 전부 하나회 출신인데, 그 하나회 출신들과의 별도의 지휘·지시·보고체계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하는 증언을 확보했다”며 “따라서 당시 육군 예규나 사단 예규, 작전 예규서 명시하고 있는 자위권 발동 및 ‘진돗개’ 발동 요건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광주에서의 진압 작전이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등 여타의 증거는 많이 있다”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발포 책임자를 전두환 씨로 특정해도 무리가 없겠느냐’는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의 질문에 “최종적으로 증언을, 또 증거를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아마도 암매장 문제와 발포 책임 문제 관련 보고서가 가장 늦게 종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앞서 조사위는 지난 5월 대국민 보고회를 열어 시민을 향한 계엄군의 구체적인 총격 횟수 등 내용이 담긴 진상 조사 중간 결과를 발표했었다.

조사위는 연말까지 추가 조사를 거쳐 내년 6월 공식 보고서를 발간하고 위원회 활동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hwa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