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이태원 참사

"기억으로 '사회적 애도' 이어져야" 이태원 참사 1주기 토론회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민대책회의·유가족협의회, 12일 토론회 열어

참사 이후 수십만장 기록보존 통해 "사회적 애도 실현"

오는 26일 '기억과 안전의 길' 중간단계 공개

"유족뿐만이 아니라 시민들이 함께 기억해야"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참사 장소였던 이태원역 인근에 ‘기억과 안전의 길’이 조성된다. 12일 첫 삽을 뜬 공간 조성에 맞춰 모인 이태원 유족들과 활동가들은 “사회적 애도를 통해 기억을 이어가고, 재발 방지 등으로 나아갸아 한다”고 입을 모아 전했다.

이데일리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가 12일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이태원참사 1주기 토론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는 이날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이태원역 1번 출구, 기억과 안전의 길에서 사회적 애도를 말하다’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태원 유족들은 물론, 이태원역 인근 포스트잇 등 기록보존 활동에 참여했던 활동가들과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등에서도 함께해 기억과 추모의 중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이날 인사말을 맡은 희생자 신애진씨의 어머니 김남희씨는 “처음에는 유족들 역시 경황이 없어서 ‘아카이브’를 고민할 겨를이 없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유족으로서 참사의 원인 규명, 희생자 159명 모두의 삶에 대한 기록 등이 잘 보존되기를 바란다”며 “애도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억의 파편들을 모아, 사회적으로 의미있게 남아있어야 한다”고 기록보존의 의미를 설명했다.

박이현 기록보존팀 활동가는 시민들이 남긴 메시지를 통해 참사의 공간에서 ‘애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 주민들과 활동가들은 지난해 12월 말부터 2만5000여점의 조화를 포함해 추모 물품 정돈을 시작했고, 지난 3월부터는 기록보존을 시작했다. 이들이 현재까지 수거해 기록한 추모 메시지는 수십만장에 달한다.

박 활동가는 “기록보존에 활동한 이들 모두가 참사를 기록하고, 때로는 무력감을 이겨내기도 했다”며 “추모와 애도는 물론, 미안함과 자책, 분노 등 다양한 감정과 기억들을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활동은 국가가 규정한 방식을 넘어, 시민의 자기 기반이 되어주고 있다”며 “기록보존을 통해 더 많은 메시지가 사회에 남고, 안전사회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들은 오는 26일까지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에 ‘기억과 안전의 길’이라는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다만 아직까지 이태원참사 특별법 등 법안 처리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 이번 공간은 ‘중간 단계’로서 명명됐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 과제가 남아있고, 특별법에 따른 공간 조성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민들이 스스로 기억하며 애도를 이어나가겠다는 의미다.

예술감독을 맡은 권은비 미술가는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에 유족들은 물론, 시민사회에서도 참여가 이뤄졌음을 강조했다. 권 미술가는 “참사가 일어난 공간은 사적 소유의 토지로, 이곳이 공적인 애도와 추모의 역할을 하게끔 만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딛고 함께 유족은 물론, 인근 상인들과 시민들이 모두 참여해 긴밀하게 소통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종적인 기억공간 조성을 위해 어떻게 애도하고, 기억해나갈지는 사회 모두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4·16 세월호 유족들이 만들어갔던 기억과 애도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정부자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추모부서장도 참여해 경험을 나눴다. 정 부서장은 “국가가 해주지 않는 일은 시민사회에서 함께 해결해야 한다”며 “잊기를 바라는 정부에 맞서 ‘기억’을 계속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주민 등 공동체 차원에서도 함께 기억해나가며,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