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제' 강화가 내년 총선서 독이 될 수도
'수도권 위기론' 확인 與, 총선 체제로 국면 전환
여 지도부 거취, 용산과 관계, 김행 임명 등 영향
더불어민주당이 11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윤석열 정부 심판론'을 내세워 압승하면서 여야 대치의 골은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민심'을 확인했다고 여기는 민주당은 국회 의석수를 앞세워 대여 공세 고삐를 바짝 조일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수도권 위기론'을 확인하며 일격을 맞은 여당은 공세에 맞서면서 총선 승리를 위해 전열 정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9일 서울 강서구 발산역 인근에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진교훈 후보 지원 유세 중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 '이재명 체제' 공고화로 대여 공세 고삐
민주당은 내년 총선의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정권 심판론'이 국민의힘의 '거대 야당 심판론'보다 우세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당장 국회에서 △노란봉투법(노조법 개정안) △방송3법 △'1특검 4국정조사' 등 쟁점 법안들에 대한 본회의 처리에 속도를 내며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국정기조 전환을 강력 촉구할 명분을 확보했다. 특히 윤 대통령의 특별사면·복권으로 재출마한 김태우 후보가 낙선한 만큼 윤 대통령도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물고 늘어질 수도 있다.
당내에선 이재명 대표 체제가 한층 공고해질 전망이다. 구속영장 기각과 보선 승리를 명분 삼아 체포동의안 가결로 상처 입었던 리더십 회복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 대표를 포함한 친이재명계의 목소리가 강화할 수 있지만, 자칫 내년 총선에서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친명계의 장악력 강화 시도가 체포동의안 가결파와 비이재명계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 사퇴한 비명계 송갑석 최고위원 후임 임명, 가결파 의원들에 대한 징계 여부가 이 대표의 의중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국정감사 이후 본격화할 총선 준비 체제 전환 과정에서 공천관리위원장과 총선기획단장 등 공천에 관여하는 인선을 둘러싸고 계파 갈등이 불거질 여지는 다분하다. 한 비명계 의원은 "이번 승리 1등 공신은 이 대표가 아닌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질 수 없는 선거를 이겨 놓고서 승리감에 도취한다면 정작 총선에선 패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기현(왼쪽) 국민의힘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강서구 발산역 인근에서 김태우 강서구청장 후보의 지지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총선 체제 전환에 속도... '지도부 책임론'까진 불투명
이번 보선에서 패한 국민의힘도 민주당의 요구대로 협치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에 끌려가는 모습을 보일 경우, 지지층과 당내에서 리더십 교체 요구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됐던 수도권 위기론이 확인된 만큼, 총선 전략을 둘러싼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국정감사 이후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발족과 인재 영입, 민생 대책 발굴 등에 속도를 내면서 국면 전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비윤석열계 등으로부터 김기현 대표를 포함한 현 지도부에 대한 거취 요구를 받을 수 있지만, 강서구가 야당 성향이 강한 지역이었다는 핸디캡을 부각하며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도 나왔다.
권영세 의원이 CBS라디오에서 "지도 체제가 자주 바뀌는 정당치고 제대로 되는 정당이 없다"며 "(비대위 전환 주장은) 우리 지도 체제가 좀 흔들리기 원하는 사람들의 얘기"라고 거리를 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비윤계 등 비주류에서는 '보선 패배를 계기로 대통령실과 당의 수직적 관계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지만, 당내 전반으로 확산될지는 미지수다.
5일 국회 여성가족부 회의실에서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오후 속행 전 의원들을 기다리고 있다. 최주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대통령, 김행 임명 강행 여부에 주목
윤 대통령의 반응도 관전포인트다. 당장 야당이 반발하고 있는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 여부가 가장 큰 고민거리다. 윤 대통령의 스타일상 정면돌파를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당내에선 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통해 부담을 덜어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정부·여당이 기조 전환에 나서기보다는 내년 총선 전까지 야당과의 기싸움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란 관측에 보다 무게가 실린다. 다만 연말까지 내년 총선에 대한 전망이 나아지지 않을 경우, 국민의힘과 대통령실이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모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성택 기자 highnoon@hankookilbo.com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