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3 (목)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카카오 운영 다음, 댓글에 ‘대깨문’은 가리면서 ‘닭근혜’ ‘쥐명박’ ‘굥’은 방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포털 다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다음(DAUM)’이 기사에 달리는 댓글 내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이들을 비판하는 ‘대깨문’을 인공지능(AI) 기반 댓글 필터링 기능(세이프봇)으로 가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나 윤석열 대통령을 비하·비판하는 표현은 삭제 및 가림 처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다음의 기사 댓글(타임톡)에 ‘대깨’, ‘대깨문’ 등이 포함되면 세이프봇에 의해 자동으로 가려진다. 다음은 2020년 12월 댓글에 세이프봇을 처음으로 적용했다.

세이프봇은 욕설과 비속어 등 게시물 운영 정책을 위반한 댓글을 AI 기술로 자동 분석해 필터링하는 기능이다. 표현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동시에 이용자에게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했다. 세이프봇은 욕설과 비속어를 포함한 댓글이 발견될 경우 댓글 전체를 삭제해 음표 치환하거나 가림 처리하고 있다. 음표 치환할 경우 내용이 삭제되지만 가림 처리는 이용자가 선택하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와 다음은 댓글 어뷰징(의도적 조작 행위)을 방지한다는 이유로 기사 댓글에 어떤 단어를 삭제하거나 가리는지 등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대깨문과 같은 정치적 표현이 AI 필터링 기능으로 처리된다는 게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깨문은 ‘대가리가 깨져도 문재인’을 줄인 말이다. 문 전 대통령 강성 지지 세력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네이버는 대깨문을 정치적 표현으로 간주해 삭제하거나 가리지 않는다.

반면 카카오는 동물로 사람을 비하한 표현은 비속어로 보지 않았다. 다음에서는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을 각각 비하하는 ‘쥐박이’, ‘닭근혜’가 포함된 댓글을 그대로 놔두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하 및 비판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는 ‘굥’도 그대로다. 굥은 윤석열 정부가 민주주의에 역행한다는 의미로 윤 대통령의 성인 ‘윤’을 뒤집은 표현이다.

카카오는 방심위 세이프넷 기준에 따라 정치인을 가리키는 표현에 대해 규제하지 않지만 표현에 비속어가 들어가는 경우 세이프봇의 적용 대상이 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대깨문이 이런 경우로 비속어로 사용되는 ‘대가리’와 노골적 신체 훼손 표현인 ‘깨져도’가 포함되기 있기 때문에 비속어로 판단됐다”라며 “정치적 해석과는 무관하며 ‘문죄인’ ‘문재앙’ ‘찢재명’ ‘개딸’ ‘이죄명’ 등 단어는 가려지지 않고 있다”라고 했다.

윤진우 기자(jiinw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