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2100만명을 보유한 인기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Kurzgesagt)’가 한국 저출산 문제를 조명했다. 사진은 해당 영상 유튜브 섬네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구독자수 2000만명이 넘는 인기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Kurzgesagt)’이 저출산 위기로 망해가는 한국을 언급해 눈길을 끈다. 앞서 미국 조앤 윌리엄스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가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두고 “완전히 망했네요”라며 놀라는 모습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지난 4일 유튜브 '쿠르츠게작트'에는 ‘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ying Out)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 영상은 이틀 만에 조회수 250만회를 돌파했고, 댓글도 2만개 가까이 달렸다.
영상은 지난해 한국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숫자(합계출산율)가 0.78명을 기록했다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라고 했다. 또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현재 젊은 인구가 100명이라면 2100년에는 그 숫자가 6명으로 줄어든다는 의미”라며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면 100년 안에 한국의 청년 94%가 줄어든다. 노인의 나라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이 영상은 섬네일(작은 크기의 견본 이미지)에 흘러내리는 태극기를 내걸어 눈길을 끌었다.
또 영상은 “2100년 한국의 인구수는 2400만명이 될 것으로 본다. 이는 1950년대로 돌아간 수준”이라며 “문제는 1950년 한국의 중위연령이 18세(만19세)였다면, 2023년에는 45세, 2100년에는 59세가 될 것”이라고 했다.
중위연령은 한 나라의 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로 줄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으로, 중위연령이 높을수록 노인 인구가 많다는 뜻이다.
쿠르츠게작트는 이처럼 노동력을 공급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살)가 줄고, 고령화가 되면 사회가 감당할 의료비와 빈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바로 이런 문제를 겪고 있는 나라라고 언급했다.
수십년간 산아제한정책을 펼친 중국은 인구구조의 변화로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됐고, 최근 중국의 성(省)급 행정구 31곳 중 11개가 연금 적자를 기록했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이 영상에서는 저출산 해법으로 '성평등'과 '안정적인 집값', '보육비 지원 등 부모에 대한 재정적 혜택' 등을 언급했다.
이 영상에 대해 전세계 네티즌들은 공감과 함께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 노르웨이 네티즌은 "31살인데 다양한 직업을 거치면서도 여전히 아파트를 살 기회를 얻지 못했다. 데이트도 못하는데, 아이를 어떻게 낳겠느냐"고 우려했다.
영국의 네티즌 역시 "언젠가 아이를 낳고 싶지만, 실제로 낳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영국도 교사와 보육시설이 부족하고 저렴한 주택의 상태는 열악하다"고 토로했다.
이 밖에 그리스 네티즌 역시 인구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고령 인구를 부양할 젊은 세대가 적어졌다며 고민을 나타냈다.
yeonjoo7@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