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검찰과 법무부

트럼프 "부패검찰 탓에 유세 못해"…뉴욕검찰 "선거모금용 출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산부풀리기 민사재판 사흘째 연속 출석 트럼프, 검찰과 장외공방

연합뉴스

법원 앞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
(뉴욕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지방법원에서 사기 대출 의혹 관련 민사재판 출석 후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2023.10.4 photo@yna.co.kr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유리하게 받기 위해 재산을 부풀렸다는 의혹과 관련한 민사재판에 4일(현지시간) 사흘 연속 출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일 재판이 시작된 이후 이날까지 3일간 뉴욕시 맨해튼 지방법원의 피고석을 지켰다. 반드시 재판에 출석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도 아닌데 꼬박꼬박 법원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사흘째 재판에 출석한 뒤 이날 오후 법원을 떠나면서 부패한 뉴욕주 검찰총장 탓에 선거 유세장 대신 법정에 붙잡혀 있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AP 통신과 CNN 방송 등 보도에 따르면 그는 기자들에게 "나는 바로 지금 아이오와나 뉴햄프셔, 사우스캐롤라이나, 오하이오, 또 다른 곳에 있어야 한다"면서 "(하지만) 워싱턴의 법무부와 소통하는 부패한 검찰총장이 날 바쁘게 만들어서 이곳 법정에 붙잡혀 있는 것"이라고 불평했다.

그는 연일 재판에 직접 출석하는 배경에 대해 "전 사회 시스템이 얼마나 부패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판 출석 첫날 회견에서 이번 사건이 자신을 향한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법무장관 겸 검찰총장의 정치적 공격이라고 주장하며 "사기(scam)"이자 "엉터리(sham)"라고 한 바 있다.

재판을 담당하는 엔고론 판사를 향해선 "불량 판사(rogue judge)"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또 이번 재판을 담당하는 엔고론 판사의 재판연구원 앨리슨 그린필드가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와 함께 찍은 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올리고 "척의 여자친구"라는 글을 함께 실으며 재판의 불공정성을 주장했다.

이에 엔고론 판사는 "내 법정 직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공격은 용납할 수 없고 부적절하다"면서 "나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전날 게시물 삭제와 추가 게시물 금지를 명령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발언하는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제임스 검찰총장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법원을 떠나면서 기자들에게 불만을 털어놓은 것과 관련해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듯 포문을 열었다.

제임스 검찰총장은 "더는 괴롭힘 당하지 않겠다. '트럼프 쇼'는 끝났다"면서 "이것(트럼프의 법원 출석)은 정치적 이목끌기(political stunt)이자 선거자금 모금을 위한 일시방문(fundraising stop)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법원을 떠나면서 기자들과 만나기 수 분 전에 "뉴욕에서 부당한 재판을 받기 위해 왔다가 법원에서 막 떠났다"라고 시작하는 선거자금 모금 이메일을 보낸 것을 지적한 것이다.

앞서 제임스 검찰총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이 은행 대출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0년 이상 뉴욕의 저택과 최고급 아파트, 빌딩, 영국과 뉴욕의 골프장 등 다수의 자산 가치를 22억달러(약 3조원)가량 부풀려 보고했다며 지난해 9월 뉴욕주 법원에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재판을 맡은 엔고론 판사는 정식 재판 시작 전인 지난달 26일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이 은행 대출 등을 위해 보유자산 가치를 부풀리는 사기 행각을 벌였다고 일부 혐의를 인정한 바 있다.

재판 결과에 따라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가족 기업은 뉴욕주 내에서 사업할 권리를 상실할 수도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은행들이 자신에 대한 대출로 피해를 본 게 없으며 엔고론 판사가 자신의 자산 가치를 낮게 평가했다며 이번 사건을 민주당 인사들이 벌인 마녀사냥이라고 반박해왔다.

p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