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케이뱅크, 중ㆍ저신용 연체율 4% 넘어...인터넷은행 건전성 '적신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ㆍ저신용대출 줄이고, 충당금 2배 늘려

이투데이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늘린 인터넷전문은행의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케이뱅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이 4%를 넘어서는 등 신용대출 연체율이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뛰었다.

17일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1.20%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2021년 0.3% 수준에서 유지되다가 지난해부터 점차 올라 지난해 6월 말 0.42%, 12월 말 0.77%, 올해 6월 말 1.04%, 8월 말 1.20%까지 상승했다.

이는 인터넷은행 3사가 출범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내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제외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이 0.62%였다.

은행별로는 토스뱅크가 1.58%로 가장 높았고, 케이뱅크가 1.57%, 카카오뱅크가 0.77%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2.79%로 집계됐다.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0.8%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부터 상승해 올해 6월 말 기준 2.46%를 기록했다. 1년 전(0.84%)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2.9배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가 4.1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토스뱅크 3.40%, 카카오뱅크 1.68% 순이었다.

중·저신용 연체율 역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인터넷은행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고금리 시기 건전성 관리가 더욱 쉽지 않다.

인터넷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8.4%, 케이뱅크 25.4%, 토스뱅크 35.6%로 집계됐다.

3사 모두 연말 목표치(30%, 32%, 44%)에 미달해 하반기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더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인터넷은행들은 연체율이 오르자 건전성 관리를 위해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줄이고, 대손충당금 적립액을 늘리는 등 대응에 나섰다.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 신규공급액은 올해 1∼8월 4조748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 4조2617억 원, 하반기에 4조6274억 원 공급한 것과 비교하면 중·저신용대출 신규 공급액이 줄었다.

전체 신용대출 신규공급액에서 중·저신용 신규공급액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지난해 상반기 44.1%에서 하반기 34.7%, 올해 1∼8월 26.7%로 축소되는 추세다.

인터넷은행은 올해 상반기 대손충당금 적립액도 1년 전의 2배로 늘렸다.

올해 상반기 인터넷은행 3사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3810억 원으로 1년 전(1928억 원)보다 97.6% 늘었다.

대손충당금 잔액 역시 지난해 상반기 3812억 원에서 올해 상반기 8432억 원으로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인터넷은행들은 지난해보다 대손충당금을 2배 쌓는 등 건전성 관리에 나섰지만, 당분간 높은 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이 더 터져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투데이/김범근 기자 (nova@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