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검찰과 법무부

이재명 조사 중단·재소환일 두고 검찰-민주당 '네 탓' 공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다섯 번째 검찰 소환조사가 완료되지 못하고 중단된 것을 두고 검찰과 민주당이 서로 "조사에서 시간을 끌었다"며 네 탓 공방을 벌였습니다.

오는 12일로 통보한 이 대표 추가소환일을 두고도 검찰과 민주당은 대립했습니다.

9일 수원지검은 언론에 보낸 문자를 통해 "오늘 피의자 건강 상태를 감안해 필요 최소 한도로 조사를 진행했으나 이 대표는 조사 내내 구체적인 진술을 거부한 채 진술서로 갈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질문과 무관한 반복적이고 장황한 답변, 말꼬리 잡기 답변으로 일관하는 등 조사에 협조하지 않아 조사에 차질을 빚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피의자는 조서 열람 도중 자신의 진술이 누락됐다고 억지를 부리고, 정작 어느 부분이 누락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대답하지도 않은 채 조서에 서명날인도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퇴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민주당 측에서 사실과 달리 검찰에 조사 지연의 책임을 떠넘기며 검찰에서 먼저 한 차례 더 출석요구를 했다고 왜곡해 비난하는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했습니다.

검찰 한 관계자는 "질문과 무관한 진술 내용을 다 반영해줬는데도 조서에 누락된 게 있다며 이 대표가 날인을 거부했다. 누락된 내용을 반영해주겠다고 하는데도 '그만하자'며 나갔다"며 "추석 전에는 영장이 청구되는 것을 막아보겠다는 지연 전략이 아니겠냐는 의심마저 든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검찰이 조사를 지연시켜 추가 소환을 유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검찰은 시종일관 시간 끌기식의 질문이나, 이미 답한 질문을 다시 하거나, 기록을 남기기 위한 질문 등으로 시간을 지연했다"며 "충분히 신문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지만, 추가소환까지 요구하는 검찰의 결정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추가 소환을 이미 염두에 두고 망신주기식 수사를 하는 검찰을 강력히 규탄한다"라고도 했습니다.

조사가 지연된 이유를 두고 검찰은 이 대표의 '말꼬리 잡기 답변', 야당은 검찰의 '시간 끌기식 질문'에 그 책임이 있다고 상반된 주장을 펼친 것입니다.

양측은 이 대표 재소환 일정을 두고도 부딪혔습니다.

검찰은 "이 대표 측은 조사 도중 오늘 오후 6시까지만 조사를 받게 해주면 12일에 다시 출석하겠다고 먼저 요구해 검찰에서 수용했다"며 "이 대표는 이전에도 계속 12일 출석하겠다고 했음에도 입장을 번복해 재출석 일자를 정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밝혔습니다.

권 수석대변인은 "검찰의 일방적 추가 소환은 검찰의 혐의 입증이 어렵다는 점만 강조될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며 "이재명 대표는 검찰의 무도한 행태에도 불구하고 소환에 당당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사전에 약속됐다는 조사 방식을 두고도 서로 다른 주장을 했습니다.

검찰은 이 대표 측이 출석 전 오후 9시 이후 심야 조사 포함 종일 조사를 약속했다고 밝혔으나, 민주당 측은 조사에 앞서 심야 조사가 어려운 사정을 설명하고, 신문을 집중적으로 실시해 오후 6시에 조사를 마친 후 오후 9시 이전에 조서 열람 등 절차를 마칠 것을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한 이 대표의 제3자뇌물혐의 피의자 신문은 오전 10시 30분에 시작해 오후 6시 40분까지 약 8시간 동안 진행됐습니다.

단식 중인 이 대표는 식사를 거른 채 2시간마다 20분씩 휴식하는 방식으로 조사에 임했습니다.

오후 7시부터 피의자 신문조서 열람이 시작됐으나, 이 대표는 "조서에 진술 취지가 반영되지 않았다"며 서명 날인을 거부하고 2시간 40여 분 만인 오후 9시 43분쯤 검찰청사 밖으로 나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조제행 기자 jdon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