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나의 전 직업은 강서구청장” 김태우…‘검·경 대결 프레임’에 “유치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태우 전 서울 강서구청장, CBS 라디오에서 “전 구청장과 전 경찰의 대결”

세계일보

김태우 전 서울 강서구청장 페이스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진교훈 후보 카드에 이어, 국민의힘의 김태우 전 서울 강서구청장 전략공천이 유력해지면서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민심 가늠자가 될 다음 달 강서구청장 보궐선거를 둘러싼 ‘검찰 vs 경찰 프레임’ 조성을 당사자인 김 전 구청장이 강하게 거부하고 나섰다.

검찰 수사관 이력을 들어 진 후보와의 맞대결 시 검찰과 경찰의 대결이 될 수 있다는 시선은 오로지 민주당이 만들어냈을 뿐이고, 자신의 직전 직업은 검찰 수사관이 아니라 ‘강서구청장’이라는 점을 부각하면서다. 여기에는 ‘검경 프레임’을 깨고 오로지 구정 경험과 민심을 토대로 승리를 쟁취하겠다는 김 전 구청장의 의지가 깔린 것으로도 보인다.

김 전 구청장은 8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당에서는 도덕성에서 진 후보가 우위다, 검찰 대 경찰 구도로 가도 우위라는 판단을 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보느냐’는 진행자 말을 듣고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반응했다. 이어 “‘검경 프레임’을 거는데 저는 직전 직업이 강서구청장이었다”며 ‘행정가’ 출신인 자신과 경찰청 간부 출신인 진 후보와의 대결은 ‘전 구청장과 전 경찰의 대결’이라고 바로잡았다.

김 전 구청장은 그러면서 “그 전 직업은 정치시사평론가였다”며 “그 전 직업이 검찰 수사관이었다”는 말로 검찰 수사관은 이른바 ‘전전전 직업’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그리고는 “어떻게 검경 프레임을 붙이느냐”며 “흥행을 위해 팔아먹기 좋은 얘기, 싸움 구경하고자 검경 프레임(을 붙이는 건) 정말 유치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잘못된 흥행을 노린 프레임이자 ‘가짜 프레임’이라는 주장이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원내대표를 지낸 김성태 전 의원도 최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검경 프레임은 민주당이 ‘억지춘향식’으로 만들어낸 거라고 주장했다. 이번 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의 10개 지역구 조직위원장 인선에 따라 강서을 조직위원장이 된 김 전 의원은 19년간 강서구에서 살아온 진 후보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민주당이 이러한 프레임을 만들었다며, 그와 달리 국민의힘은 경선으로 가야 한다는 취지로 강조했다.

김 전 구청장은 자신과 관련된 재판으로 이번 보궐선거가 치러지는 데 대해 제기된 비판을 두고 “두말없이 죄송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린다”면서도, 그동안 내세워온 ‘조국이 유죄면 김태우는 무죄’라는 주장을 부각했다.

지난달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공익신고자’인 저에 대한 문재인 검찰의 정치적 기소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의 범죄행위를 감추기 위한 정치적 탄압이었다”며 “김명수의 법원은 공무상 비밀 누설이라는 앞뒤가 맞지 않는 혐의르 씌워 범죄자로 낙인찍었다”고 날을 세웠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김 전 구청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으로 특감반의 감찰 무마 의혹을 폭로했다가 대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확정돼 지난 5월 구청장직을 상실했었다. 그는 ‘대법원 판결이 잘못됐다고 보느냐’는 라디오 진행자 질문에 “네”라고 짧게 대답한 후, ‘사법부 판단을 부정하는 건가’라는 이어진 질문에는 “사법부의 판단은 존중해야겠지만 예전 대법원의 공익 신고와 관련된 판례 태도와 현격히 다른 내용이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