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중국인 입맛 사로잡은 덕에…두리안 세계 판매 400%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HSBC "중국, 세계 두리안 시장 91% 차지…2년간 8조원어치 수입"

연합뉴스

열대과일 두리안
[연합뉴스 자료사진]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인들의 두리안 사랑에 1분기 세계 두리안 판매가 전년 동기보다 400%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세계적 투자은행 HSBC는 지난 4일 보고서에서 지난 2년간 60억 달러(약 8조원) 규모의 두리안을 수입한 중국이 세계 두리안 수요의 91%를 차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세계로 수출되는 두리안의 약 90%가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생산되며 이는 7년 전의 60%보다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세안 두리안 수출의 99%는 태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중국 수출 경쟁에 뛰어들었다고 덧붙였다.

HSBC는 "아세안의 두리안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말 그대로 두리안을 실은 수천척의 배가 해상 무역에 나섰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덕에 모두가 더 자유롭고 동등하게 중국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고급 열대 과일 두리안은 냄새는 매우 고약하지만, 달콤한 맛과 특이한 식감에 영양이 풍부해 '과일의 제왕'으로 불린다.

중국에서는 '두리안 한 통의 영양가가 닭 세 마리와 같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수박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도 두리안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며 엄격한 수입 통제를 하던 작년에도 두리안 수입은 2017년의 약 4배로 급증한 40억 달러(약 5조3천억원) 규모에 달했다.

RCEP에 따른 낮은 관세와 빠른 통관으로 인해 두리안이 대도시는 물론 중국 전역으로 급속히 퍼져나간 덕분이다.

중국에서는 비싼 과일을 사 먹을 때 두 번 생각하지 않고 바로 지갑을 열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오랫동안 '체리 자유'라고 일컬었는데 이제는 '두리안 자유'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고 앞서 SCMP는 전했다. 두리안이 체리를 제치고 중국인들의 '부의 상징'으로 떠오른 것이다.

S&F프로듀스그룹의 샘 신은 SCMP에 "중국 시장의 확대는 거대한 소비자 기반을 제공하며 두리안 재배자들이 생산을 늘리고 결과적으로 수입을 올리게 해준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서도 올해 처음으로 두리안이 생산됐다.

남중국해의 휴양섬 하이난성의 약 93만3천㎡ 면적 농장에서 재배한 두리안이 지난 7월 본격적인 수확에 들어갔다.

prett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