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오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3국 정상회의에서 “ 최근 한일 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 한국 일본 중국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아세안+3 정상회의 첫 발언자로 나선 그는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때 아세안과 한국·일본·중국 3국 정상이 함께 연대 공조해 위기 극복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게 ‘아세안+3’의 출범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윤 대통령은 통상 한국인들이 부르는 ‘한국-중국-일본’이 아니라 ‘한국-일본-중국’ 순으로 호명해 관심이 모아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 아세안 정상회의 때는 ‘한-중-일’ 순으로 언급한 바 있다.
이를 두고 한일 관계 개선을 시작으로 한미일 협력을 제도화한 윤석열 정부의 외교 흐름이 묻어난 장면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대통령실 참모들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를 기점으로는 ‘한중일’이 아니라 ‘한일중’을 어순으로 표현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한일 관계가 좋지 못할 때 한중일로 표현해 온 게 고착화된 게 아니겠나”라며 “현재 상황에서 일본과 중국을 똑같이 놓는다면 한일중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다”고 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는 “역내 핵심 해상교통로인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은 인태 지역의 번영에 필수적”이라며 아세안 국가들과의 해양안보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이를 위해 퇴역함 양도와 아세안 국가들의 해양 법집행 역량 지원, 연합훈련 공조 확대 등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이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거론한 건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중국을 견제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 촬영을 마치고 회의장으로 이동하기 전 처음 대면한 리창(李强) 중국 총리와 악수하며 밝은 표정으로 인사를 건네기도 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아세안+3간 통화 스와프를 통한 역내 금융 안전망 강화와 함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통한 교역, 투자 확대 필요성도 강조하며 아세안의 중소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전환 스타트업 육성 필요성도 강조했다. 지난해 취임 후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 가입한 한국이 중국 주도로 출범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공개 거론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