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美 백악관 "브릭스, 反美연합 아니다…위협으로 보지 않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20에 中 이해관계 달린 의제 있다…시진핑 참석 여전히 희망"

연합뉴스

커비 美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은 1일(현지시간) 중국과 러시아 등 신흥 경제 5개국이 참여하는 브릭스(BRICS)에 대해 "우리는 브릭스를 일종의 반(反)미국 연합이나 미국의 국익 및 방대한 동맹 네트워크에 대한 적대적 단체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 조정관은 이날 전화 브리핑에서 "브릭스에 참여하는 많은 회원국이 미국과 좋은 양자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는 브릭스를 어떤 종류의 위협으로 보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커비 조정관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된 브릭스가 아르헨티나,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어느 나라든 누구와 어떻게 연합할지 결정할 수 있다"면서 "주권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어느 나라에 누구와 친구가 돼야 한다고 말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고 밝혔다.

미국이 유일한 전략적 경쟁자로 보고 있는 중국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 등이 참여한 브릭스는 지난달 정상회의에서 회원국을 확대해 몸집을 키우기로 한 바 있다.

연합뉴스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하는 회원국 대표들
(요하네스버그 AFP=연합뉴스)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대표들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샌튼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브릭스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브릭스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아랍에미리트(UAE), 아르헨티나, 이집트, 에티오피아를 새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왼쪽부터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2023.08.24 clynnkim@yna.co.kr



커비 조정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도에서 오는 9~10일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것과 관련, "G20에서 시 주석을 만나고 싶다"고 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전날 발언을 언급하면서 "미국은 시 주석의 참석을 권유하겠지만, 참석 여부는 시 주석에 달렸다"고 말했다.

이어 "G20 정상회의 의제를 보면 기후변화가 됐든, 다자 개발이 됐든, 투자 기회가 됐든 거기에는 중국의 이해관계가 달린 것이 있다"면서 "또한 전 세계의 경제 협력과 번영의 기회를 개선하기 위한 포럼으로 G20이 어디로 갈지 등 G20 자체도 의제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커비 조정관은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5~7일)에 바이든 대통령 대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참석하기로 하면서 해당 지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지적에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등을 거론하면서 "우리가 정부 출범 초부터 한 일을 보고 미국이 인도·태평양에 관심이 없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밖에 커비 조정관은 우크라이나의 반격 작전이 더디게 진행된다는 일각의 비판과 관련, "우크라이나가 지난 72시간 이내에 남부 전선에서 주목할만한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solec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