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오늘의 외교 소식

尹대통령, 아세안·G20 순방서 ‘한-아세안 연대구상’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이어 두 번째…책임외교·부산 엑스포 총력전도 목표

인도네시아서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조코위와 정상회담

尹, G20서 기후변화 극복·우크라 지원 구상 밝힐 듯

한중 정상회담 여부에 대통령실 “시진핑 참석 여부 따라”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내달 5일부터 11일까지 5박 7일 일정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과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 연달아 참석해 ‘한-아세안 연대구상’의 구체화 전략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에 역내 협력과 평화를 역점에 둔 인도·태평양 전략을 천명한 데 이어 올해는 아세안과 안보·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더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데일리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아세안·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인도네시아·인도 순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3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번 순방의 목표는 한-아세안 연대구상 추진, 글로벌 책임외교 구현,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총력전”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힘을 실은 건 한-아세안 연대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작년 11월 프놈펜에서 아세안과의 협력기금을 약 600여억원까지 늘리고 외교 영역에서 아세안 중시 기조를 갖추겠다는 내용의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공개한 바 있다.

김 차장은 “윤 대통령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직접 참석해 우리의 대(對)아세안 중시 입장을 강조할 것”이라며 “사이버·해양·안보분야 협력강화 계획과 디지털 혁신분야 협력사업 발표 등을 통해 우리 정부가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갈 것임을 천명하겠다”고 말했다.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를 찾는 건 올해 50주년을 맞은 한-인니 수교를 기념하는 공식방문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외교·안보 분야의 공조 강화, 전기차·배터리 등 미래산업분야 파트너십 심화 방안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또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세안과 한중일간 협력을 어떻게 활성화할지 모색할 예정이다. 다만 대통령실은 별도의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여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전했다.

대통령실은 또 일본 정부가 이번 아세안 다자회의를 계기로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를 설명할 거라는 일본 언론 보도에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에 대해서 논의가 되거나 공동 문안을 발표 준비 중이라는 얘기를 해오거나 우리가 들은 바가 없다”고 부인했다.

G20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참석하는 것 역시 의미가 크다. ‘글로벌 책임 외교’의 주체가 됐다는 상징성 때문이다.

김 차장은 “이번 G20 정상회의는 ‘하나의 지구’, ‘하나의 가족’, ‘하나의 미래’ 3개 세션을 주제로 글로벌 도전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국제사회의 가장 중요 현안 중 하나인 기후변화 극복을 위한 대한민국의 구체적 기여 방안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또 우크라이나의 평화정착과 재건지원, 글로벌 디지털 윤리 규범 정립을 위해 대한민국의 역할을 약속할 예정이다.

2030 세계박람회(EXPO·엑스포) 개최지 선정을 위한 최종 투표를 3개월을 앞둔 가운데 윤 대통령은 정상외교를 통해 엑스포 유치 총력에 나설 전망이다.

반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G20 계기에 한중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서는 “중국이 누구를 보내느냐에 따라서 논의가 열릴 수도 있고, 그다음 다자회의 계기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순방은 다자회의가 주축이지만 다수의 양자회담과 별도의 경제행사 등을 통해 경제적 성과도 기대된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이번 순방의 경제 키워드로 △수출시장 확대 △첨단 산업 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리더십 3가지를 꼽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