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국악 한마당

토끼와 별주부의 극적 생존기…국립국악원 창극 '산전수전 토별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난세 생존 통한 이 시대, 우리 이야기 그려

9월 15~16일 국립국악원 예악당

국립민속국악원은 대표공연 창극 '산전수전 토별가'를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올린다고 29일 밝혔다.
아시아경제

'산전수전 토별가' 포스터. [사진제공 = 국립국악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전수전 토별가는 지난 5월 남원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초연됐던 작품으로, 오는 9월 15일과 16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으로 무대를 옮겨 관객들을 만난다.

이 작품은 전통 판소리 '수궁가'를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국립민속국악원은 올해 흑토끼의 해를 맞이해 판소리 '수궁가'를 쉽고 재미있으면서 판소리의 아름다움을 전할 수 있는 창극으로 제작했다.

조광화 연출가가 개작과 연출을 맡았다. 동아연극상과 백상예술대상, 한국뮤지컬 대상 등을 수상하며 연극과 뮤지컬계를 넘나들며 독보적인 작품성과 연출력을 인정받은 조 연출은 팔난(배고픔, 목마름, 추위, 더위, 물, 불, 칼, 질병)의 위기를 지혜롭게 풀어나간 토끼와 별주부의 우화를 극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명확한 인과 관계 설정과 등장인물의 드라마에 집중하고, 어려운 한자와 중국 고사를 쉬운 한글과 우리 역사로 풀어내 작품의 몰입도를 높였다고 국악원 측은 설명했다.

조광화 연출은 "(산전수전 토별가는) 세상살이 고달파 무섭고 두려운 때에, 해학의 위로와 지혜의 힘을 드리고 싶었다"며 "서로 싸우던 토끼와 거북이가 극의 후반 팔난에 맞서 서로 연대한다. 그 모습이 어지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전통 창극 본연의 멋을 조화롭게 살릴 수 있는 명인들도 창작에 참여했다. 전북 무형문화재 '수궁가' 예능보유자인 왕기석 명창이 작창을 맡아 작품의 연극적인 표현을 다채로운 우리 소리로 살려 수궁가 특유의 해학과 재치가 멋스럽게 전해지도록 구성했다.

음악감독은 전북 무형문화재 '판소리장단' 예능보유자인 조용안 국립민속국악원 예술감독이 맡았다. 조 감독은 화려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수궁가의 음악적 특성을 살려 작품의 극적인 흐름과 관객에게 전할 다양한 감정들을 조화롭게 연결시켰다.

산전수전 겪는 토끼역은 창극단 새내기 단원 양혜원이 맡아 다양한 감정을 자유자재로 표현한다. 별주부역과 용왕역은 탁월한 연기력과 뛰어난 소리로 정평이 난 강길원과 정민영이 맡아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별주부 처 역은 방수미 명창이 맡아 전통 판소리의 깊은 울림을 전한다. 무용단과 기악단도 저마다의 매력으로 무대를 풍성하게 꾸민다.

아울러 강상구 작곡, 박천지 지휘, 심새인 안무, 정승호 무대미술, 정태진 조명디자인, 김영진 의상디자인 등 공연계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 제작진이 함께해 무대의 완성도를 높였다.

김중현 국립민속국악원장은 "서울에서 선보이는 창극 '산전수전 토별가' 공연을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로 전통과 현대의 아름다운 조화를 보여주고자 했다"며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삶의 재미를 찾는 소중한 시간을 선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