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근해 수산물의 30%가 유통되는 부산공동어시장은 25일 주요 5개 수협 긴급회의를 열고 정부대책과 수산물 소비 촉진 방안 등을 논의한다. 공동어시장은 21일부터 수산물 경매 전 방사능 검사를 완료하는 ‘심야 신속 검사제’를 도입, 내부 안내방송을 통해 결과를 중도매인에게 알리고 있다. 공동어시장 관계자는 “신속 검사 결과는 구두로 통보하고 있는데, 마트 등 소매상들의 ‘검사 증거를 보여달라’는 요청이 많아 결과지를 인증서처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매일 산지와 어종을 불문하고 모든 수산물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를 하고 결과를 실시간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대상은 가락시장, 노량진시장, 수협강서공판장 등 주요 도매시장에서 유통하는 수산물이다. ‘시민 방사능 검사 청구제’를 확대해 모든 신청 건에 대해 검사하기로 했다. 일본산 수산물 취급 음식점 등 3000곳은 원산지 표시 의무 이행 여부를 특별 점검한다.
제주도는 24일부터 6개월 동안 대응 상황을 2단계 ‘주의’에서 3단계 ‘경계’로 격상하고, 수산물 안전 전담팀을 정무부지사 직속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대응단’으로 확대한다. 제주도는 우선 바닷물 방사능 감시 해역을 기존 14곳에서 28곳으로, 방사능 검사 대상을 양식수산물에서 연근해 수산물로 확대한다. 제주도 누리집에서 주 1회 공개한 방사능 감시 결과도 매일 누리집과 대형 전광판, 버스정류소 전광판의 ‘수산물 안전 신호등’을 통해 공개한다. 삼중수소까지 분석할 수 있는 베타핵종분석기를 확충하고, 휴대용 신속 측정장비를 요청하는 기관과 단체에 보급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23일 “측정장비 등은 현재 구매를 요청한 상태로, 확보하는 대로 기관에 보급할 것”이라며 “수산물 홍보와 가격안정 지원 강화를 위해 13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부산시는 22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전담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해수 무인감시망 2곳 추가 설치, 수입활어차 해수의 방사능 신속 검사를 위한 이동형 방사능 분석기 2대 도입을 결정했다. 현재 부산시환경연구원이 보유한 고가의 고정형 방사능 검사기인 감마핵종분석기는 모두 3대이다. 또 동·서·남해안 해수의 안전성을 교차 분석하고, 대학교 연구소와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해 해수 방사능을 조사하기로 했다.
전국 최대 수산물 생산지인 전남도는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기존 62개 품종 800건에서 전 품종 1200건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수입수산물 유통이력제 품목을 17개에서 21개로 강화한다. 원산지표시 품목도 15개에서 20개로 확대한다. 전남 도내 4곳의 해역에서 방사능을 실시간 측정하고 어업지도선 방사능 광역 감시, 87개 마을 수산물 관리, 산지 위판장(19곳) 방사능 검사 등을 시행한다
울산시는 수산총괄·원산지단속·안전관리 등 3개 분야별 대응반을 운영하면서 단계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하기로 했다. 강원도도 21개 위판장의 방사능 검사를 월 2회에서 하루 1회로 강화하고 누리집에 공개한다. 경북도는 기존 감마핵종분석기를 포항 이외에 경주, 영덕, 울진에도 1대씩 추가한다.
각 지자체는 또 소비 촉진 행사를 개최하는 한편 관련 산업 피해대책 마련, 수산물 정부 수매 등을 건의하기로 했다.
<권기정 기자 kwon@kyunghyang.com,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