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수산물 먹거리 불안 어떻게 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횟집·생선가게 “손님 발길 뚝 끊겨 막막”

대형마트, 수산물 오염수 안전체계 강화

서울 흑석동에 사는 주부 최모씨(56)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소식에 걱정이 태산이다. 워낙 가족들이 생선회를 좋아하는 데다 밥상에도 육류보다 생선구이를 자주 올리는 만큼 혹시 모를 방사능에 노출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최씨는 “얼마 전 천일염은 물론 미역과 다시마까지 품절 사태를 빚은 것도 모자라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며 “앞으로는 생선구이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없다니 정말 답답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24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밥상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고물가 시대에 가뜩이나 소비심리가 위축된 데다, 후쿠시마 오염수로 인한 먹거리 불안은 물론 국내산 수산물 가격 폭등마저 우려되고 있어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벌써부터 타격을 입고 있다. 서울 가락동에서 생선가게를 운영하는 A씨는 “코로나 팬데믹을 겨우 이겨내는가 싶었는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라니 너무 막막하다”며 “비가 오면 손님이 거의 끊기는데 9월 초까지 장마가 이어진다고 하니 더 이상은 버텨내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 일산에서 오마카세(주방장 특선요리)집을 운영하는 B씨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도 횟집, 초밥집 등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며 “일본산 수산물은 워낙 가격대가 비싸 안 쓰고 있는데도 예약 손님이 뚝 끊겼다”고 전했다.

외식업체 중에는 불안감 해소를 위해 입구에 ‘일본산 수산물을 쓰지 않습니다’ 같은 문구를 내건 곳도 있다.

대형마트들도 오염수 방류 소식을 예의 주시하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2011년 후쿠시마 사태 이후 지금까지 일본산 수산물을 전혀 취급하고 있지 않지만, 전통시장보다 대형마트에서 수산물을 많이 구입하는 만큼 원전 오염수 본격 방류에 대비해 안전장치를 강화하고 나섰다.

이마트는 올 1월부터 ‘방사능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시행 중이다. 방사능 안전관리 대응 단계는 ‘평시, 주의, 경계, 심각’ 총 4단계다. 적용 시기와 주별 검사 건수를 단계별로 조정해 심각 단계에서는 판매를 중단한다.

또 이마트 상품안전센터에서는 산지에서 배송된 수산물 샘플을 정밀 검사해 세슘, 요오드 등 방사능 수치를 파악하고, 수산물 이력제를 통해 방사능 기준을 초과할 경우 즉시 판매 중단과 함께 추가 유통을 막는다.

이마트 관계자는 “(일본 오염수 방류 이슈 때문인지) 올 들어 7월까지 수산물 매출이 0.1% 감소했다”면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과 안전한 수산물 공급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밥상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도 지난 2월부터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에 대비해 수산물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롯데안전센터는 주요 포구별 샘플에 대해 분기별 1회 진행하는 수산물 안전성 검사를 주 4회로 늘리는 등 방류 시점에 따라 검사 횟수를 더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제철을 맞아 꽃게와 오징어, 전복, 생갈치가 잘 팔리고 있는데 오염수 방류 이슈는 아직 눈에 띄지 않고 있다”면서 “추후 본격적인 방류가 시작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쿄전력은 오는 24일부터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거쳐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를 바닷물과 희석해 해저터널을 통해 원전 앞바다에 방류할 예정이다. 지난달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 기준에 부합하고 방류에 따른 방사선 영향은 미미하다고 결론내린 바 있다.

경향신문

롯데마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