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총선 이모저모

"18석 지켜야"…부산 정치권, 총선 의석수 유지 '한 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거구획정 위원회, 부산서 의견 청취…시민단체도 "현행대로"

연합뉴스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위원회, 선거구 획정 부산 이견 청취
촬영 오수희 기자


(부산=연합뉴스) 오수희 기자 = 부산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가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부산지역 선거구 획정과 관련 "현행 18석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위원회는 23일 부산 유라시아 플랫폼에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마련을 위한 부산지역 의견 청취 행사를 열었다.

선거구획정 위원회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기준에 따르면 독립 선거구 유지에 필요한 하한 인구수는 13만5천521명이며, 선거구를 분할할 수 있는 상한 인구수는 27만1천42명이다.

국민의힘 부산시당 강영완 조직과장은 "전체 국회의원 정수가 현행과 같이 유지된다면, 부산의 국회의원 선거구 정수도 18석 유지돼야 하고, 선거구도 조정하지 않고 현행 선거구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강 과장은 "현재 부산에서 선거구 조정이 언급되는 지역은 주택 재개발·재건축으로 인해 향후 인구수가 크게 유동적일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인구 기준으로 선거구를 조정하면 다음 선거구 획정 때 또다시 선거구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큰 혼란이 야기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와 가덕 신공항 건설, 산업은행 부산 이전 같은 부산 현안과 지역 균형 발전을 차질 없이 추진하려면 의석 1석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선거구 획정(CG)
<<연합뉴스TV 제공>> 선거구획정 시한 오늘 종료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최형욱 수석 대변인은 "현행 18석에다 2석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북·강서 갑을 선거구를 북갑과 북을, 강서로 나누자고 했다.

부산 북구는 선거구 분할에 필요한 인구 상한 기준을 넘어섰고, 강서구도 단독 선거구가 될 수 있는 인구 하한 기준을 넘어섰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다.

공직선거법은 '하나의 자치구·시·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다른 국회의원 지역구에 속하게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도 부산 강서구를 독립 선거구로 해야 하는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선거구 분할에 필요한 인구 상한 기준을 넘어선 동래 선거구도 갑과 을 선거구로 나눠야 한다고 밝혔다.

또 남갑을 선거구의 경우 주택 정비사업에 따른 일시적인 인구 감소이므로 현행 갑·을 선거구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한영 부산 시민운동단체 연대 운영위원장도 현행 18석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남갑을 선거구를 합쳐 한 석을 줄이는 대신 북구는 갑을로 분구하고, 강서구를 독립 선거구로 분리하자고 주장했다.

동래구는 현행 1개 의석을 유지하고, 인구 하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사하갑은 사하을과 경계 조정하면 인구 하한 기준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성한 정의당 부산시당 대변인은 "인구 기준에 따르면 부산 국회의원 정수는 현행보다 한 석 줄어든 17석이 되는 게 맞지만, 합의안을 마련해야 한다면 남갑을 선거구를 합치는 대신 북구를 갑을로 나누고 강서를 독립 선거구로 떼어내 현행 18석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osh9981@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