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5 (목)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中 부동산 불안 연말까지 지속…증시 리스크 경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한투자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중국 부동산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는 제한적이지만, 불안 심리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위안화 채권 만기 도래 시점이 내년 상반기까지 집중돼 있어서다. 중국 경제성장률과 소비 회복 눈높이도 낮아지면서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리스크 경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23일 중국 부동산 위기의 본질은 강력한 디레버리징 정책에서 비롯됐다고 짚었다. 2020년 말 정부는 ‘3대 레드라인’ 도입으로 부동산 업계 부채 총량 제어를 위한 선제적 체질 개선에 나섰다. 이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부동산 침체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졌고 이 과정에서 자금경색에 빠진 디벨로퍼들이 부도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업황 회복이 요원한 가운데, 디벨로퍼들의 위안화 채권 만기 도래 시점이 내년 상반기까지 집중되어 있어 아직 넘겨야 할 고비가 남았다”며 “벽계원 채무불이행 위기도 온전히 해소되지 않아 연말까지 불안 심리는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성수기인 9~10월까지 지준율 인하, 선수금 납부율 인하, 감세 등 동원 가능한 정책 수단을 통해 수요 회복에 만전을 다할 공산이 크다고 봤다. 이에 따라 연초 이후 누적된 정책 효과까지 감안해 올해 4분기~내년 1분기 중 업황 반등을 전망했다.

신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디벨로퍼 부실에 대해선 적극적인 개입보다 중재자 역할을 하며 기업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질서 있는 파산을 유도해 리스크를 통제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 중국판 리먼 사태를 논하기도 하지만 중국은 문제의 단초가 됐던 부동산 관련 파생상품(MBS)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금융기관의 손익 익스포저도 제한적이다. 은행권 대출의 부동산 디벨로퍼 익스포저는 5.7%에 불과하며 상업은행 부실채권(NPL) 비율도 1.6%로 양호한 수준이다. 중국 부동산 회사채 잔액 7589억달러 중 75.1%가 위안화채권이다. 대부분을 자국에서 조달했다는 의미다.

KB증권은 향후 △자산매각 통한 자구적 정상화 방안 △정부 미개입 및 시장 통한 청산 △중앙정부의 적극적 구제금융으로 위험통제 등 크게 3가지 중 첫 번째 시나리오의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신 연구원은 “헝다와 유사한 형태로 벽계원의 비교적 양호한 재무 상태 고려하면 지방정부를 활용해 자구적 정상화를 유도할 공산이 크다”고 했다.

당분간 중국 증시에 대해선 경계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 상하이종합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0.4배로 부담 없는 레벨이지만 부동산 리스크는 상방을 제약하는 요인”이라며 “경제성장률과 소비 회복 눈높이를 낮춘다는 측면에서도 달갑지 않다. 정부 대응에 주시하며 관련 리스크에 경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