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檢, '봉하마을 e지원' 이미징 작업 마무리 수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지정서고 비전자지정기록물 열람도 막바지

팜스, 외장하드는 암호해독 보름정도 소요

【서울=뉴시스】박준호 기자 =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봉하마을에서 관리했던 e지원(e知園·참여정부 청와대문서관리시스템) 사본에 대한 이미징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이날 검찰은 '봉하마을 e지원'의 이미징 작업에 주력하면서 팜스(PAMS·대통령기록물 관리시스템)와 외장하드, 지정서고 기록물에 대한 분석을 병행했다. 주말에도 수사팀의 대부분이 국가기록원에 출근했지만 일요일에는 투입하지 않기로 했다.

검찰은 이번주 중반부터 e지원 사본 이미징에 착수했지만 시스템 내에 보관된 자료의 양이 많아 이미징에 상당한 시일이 걸리고 있다.

검찰은 이르면 다음 주초께 봉하마을 이지원에 대한 이미징을 완료하는 대로 '백업용 e지원 사본(NAS)'에 대한 이미징에 착수할 예정이다.

팜스에서는 18만5000여건의 전자지정기록물이 수사 대상이지만 시스템특성상 각 자료마다 일일이 암호를 풀고 열람해야 한다. e지원에서 팜스로 이관하는 과정에 쓰인 외장하드 역시 암호가 걸려 있어 분석작업이 진척되지 않고 있다.

검찰은 팜스와 외장하드의 암호를 모두 해독하는데 보름 정도 걸릴 것으로 판단,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는 본격적인 열람·분석은 다음달부터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15만5000여건의 비전자지정기록물이 보관된 지정서고에서도 절반 이상의 자료를 열람해 분석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수사팀은 문서형태로 보관된 기록물뿐 아니라 시청각 자료도 일일이 확인한다.

검찰은 팜스와 서고에서 우선적으로 총 34만여건의 지정기록물을 검토한 뒤 e지원 재구동에 착수할 계획이다. 만약 회의록이 발견되더라도 자료의 변형 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 e지원을 반드시 구동한다는 방침이다.

e지원에서도 회의록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폐기 의혹에 대한 수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특히 회의록이 사라진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로그기록과 폐쇄회로(CC)TV 녹화자료 등을 다양하게 분석할 계획이다.

p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