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중국, 베트남과 분쟁 남중국해 파라셀군도에 활주로 건설 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매체 "트라이튼섬에 동서로 630m 활주로 들어서"

연합뉴스

(AP=연합뉴스) 상업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남중국해 트라이튼섬을 2월20일(왼쪽)과 이달 15일에 각각 촬영한 사진. 동서로 활주로가 건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3.8.18.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이 베트남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남중국해 파라셀군도(중국명 시사군도·베트남명 호앙사군도)의 트라이튼섬(중국명 중젠도)에 활주로를 짓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AP 통신은 각각 유럽우주기구(ESA)의 센티넬-2A 위성과 상업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중국이 트라이튼섬 동서로 630m 길이의 활주로를 건설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해당 활주로는 지난달 중순부터 위성 사진에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트라이튼섬 활주로 건설 기간 활주로 남쪽 약 100m 지점에도 새 건물이 들어섰으며 도로나 항공기 유도로와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파라셀군도는 베트남과 함께 대만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지역이다.

트라이튼섬은 파라셀군도 노두(露頭) 중 베트남 동쪽 해안에 가장 가까이 있다.

중국은 앞서 남중국해 스프래틀리군도(중국명 난사군도)의 피어리 크로스 암초(융수자오)와 미스치프 암초(메이지자오)에도 활주로를 지었다.

트라이튼섬에 짓는 활주로는 중국군이 남중국해에서 군사 시설을 확장해나가는 최신 징후이지만, 규모로 볼 때 남중국해 내 지은 다른 활주로보다는 훨씬 짧아 이용할 수 있는 군용기가 제한된다고 SCMP는 짚었다.

그러면서 피어리 크로스 암초에 건설한 활주로의 길이는 3㎞ 이상으로 인민해방군의 H-6 폭격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남중국해 파라셀군도 트라이튼섬(붉은색표시)
[구글지도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중국 관영 매체들에는 중국 해군 병사들이 트라이튼섬에 주둔하는 동안 훈련하며 농작물을 재배하는 기사가 실렸다. 중국은 또한 해군 지원을 위해 헬기 이착륙장, 건물, 레이돔, 농구장과 항구도 지었다.

남중국해는 막대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데다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 지역의 유조선이 통과하는 전략적 요충지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베트남, 필리핀, 대만,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 주변국은 물론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마찰을 빚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주변을 따라 '남해 구단선'을 긋고, 구단선 내 곳곳에 인공섬을 건설하면서 군사 기지화하고 있다.

prett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