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중국 부동산 위기 속 국내 증시 조정·외국인 매도압력 제한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스템 위험 전이·중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가능성 작아"

"중국 부동산 가격 추세 반등은 어려워…소비·경기회복 더딜 듯"

연합뉴스

코스피 하락, 원/달러 환율은 상승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79포인트(0.23%) 하락한 2,519.85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5.1원 오른 1,342원으로 마쳤다. 2023.8.17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 국내 증권사들은 중국 부동산 위기가 금융 시스템 위험(리스크)으로 번질 가능성이 작아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대형 부동산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채무 불이행(디폴트) 위험으로 인해 부동산 단기 유동성 위기가 부각했다.

홍록기·한지영 키움증권[039490]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위험에 따른 경기 하강 압력이 국내 증시의 심리적인 부담 요인이 되겠으나, 이런 부동산 위기가 시스템 위험으로 확산할 확률은 희박하다"며 중국 부동산 위험에 따른 국내 증시 조정폭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경기 전망도 다소 어둡지만, 전체 시스템 위험(리스크)으로 전이될 수준의 규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현·김승민 KB증권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개발업자(디벨로퍼)들의 채무는 위안화로 발행한 규모가 큰 비중을 차지해 중국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확장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국유화를 전개하는 과정이 짧은 기간에 마무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국 부동산 디벨로퍼의 채무는 주로 은행 대출, 채권으로 형성돼있어 피해 상대방이 명확하게 파악되며 파생 상품화되지 않아 손실 구조가 복잡하지 않다"며 "중국 부동산 위기가 중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가 될 가능성도 없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다만 그림자금융에 속하는 신탁 대출이 부동산 개발업체에 투입된 자금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금융권으로 위험이 확산할 가능성은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이슈가 시스템 위험으로 전개되지는 않을 전망이지만 부채 조정기에 경제 성장률에 대한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며 "부동산 가격이 추세 반등을 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소비시장 개선도 더디게 전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단체관광 제재 대상에서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을 제외했지만, 중국 여행객의 소비 여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키움증권의 홍 연구원은 "부동산 위험과 수요 개선에 대한 불투명성 등 중국발 불확실성은 국내 증시에 중국 위험 노출액이 많은 정보기술(IT), 산업재, 소재 등 주력 업종의 주가 변동성을 추가로 유발할 수 있으나 잡음에 그치고 지속성도 짧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시장에서도 중국 경기 모멘텀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면서 주가에 미리 반영해왔다"고 강조했다.

이들 연구원은 "글로벌 자산배분펀드 혹은 해외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 투자가 지속하고 있다"면서 "중국 부동산 위험이 글로벌 금융시장 시스템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번지지 않는 이상 외국인의 국내 증시 순매도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indig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