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해외투자 동향 분석해보니
日증시 거래규모 홍콩 추월해
시체 차익에 엔화 환차익까지 매력
日증시 거래규모 홍콩 추월해
시체 차익에 엔화 환차익까지 매력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 지수 전광판 [EPA = 연합뉴스] |
최근 개인투자자들의 해외주식 거래 규모에서 일본 시장이 홍콩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증시 강세와 엔화 하락 흐름에 올라타기 위한 투자자들의 주식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는 분석이다. 경기 부진과 지정학적 리스크에 시달리는 중화권 주식 비중을 축소하는 대신 역대급 엔저 현상에 따른 ‘엔테크’ 투자 전략을 펼친 결과로 풀이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8일 매일경제신문에 키움증권에 의뢰해 자사 계좌로 해외주식을 거래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시장별 거래대금 비중을 분석한 결과 지난 5월부터 일본 주식 비중이 큰 차이로 홍콩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홍콩·중국 3개 시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월별 거래대금을 보면 일본 주식 비중은 지난 5월 61%를 기록해 홍콩(23%) 중국(12%) 투자 비중과 격차가 컸다. 일본 시장 비중은 6월과 7월에도 각각 65%, 58%에 달해 과반을 훌쩍 넘었다.
지난 1월만 해도 일본 비중은 31%에 그쳐 홍콩(52%)에 크게 밀렸다. 2월에도 일본 29%, 홍콩 47%, 중국 24%로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3월의 경우 일본 주식 비중이 46%까지 올라섰지만 4월에는 20%로 다시 주저앉았다. 5월 들어 올해 초와 비교해 정반대 양상이 펼쳐지기 시작한 셈이다.
일본 증시의 상승세가 5월부터 일본에 자금이 몰리기 시작한 배경으로 지목된다. 실제 일본 증시 대표지수인 니케이225 평균주가는 4월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더니 5월 말엔 버블 시기인 1990년 7월 이후 33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일본은행(BOJ)의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역대급 엔저’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원·엔 환율은 최근 900원을 중심으로 오르내리며 지난달 말엔 2015년 6월 이후 8년 만에 800원대로 내리기도 했다.
키움증권 데이터랩은 “상승장과 환차익 두 가지를 동시에 노린 투자자들이 5월부터 일본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매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중국 경기 회복을 둘러싼 우려가 계속되면서 홍콩 주식을 향한 관심은 식고 있는 모습이다.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도 중국 본토와 홍콩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를 억누르는 재료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3월 말 조직 개편을 단행한 알리바바그룹 주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4월 홍콩 주식 거래대금 비중이 반등했지만 이마저도 반짝 상승에 그치고 말았다.
종목별로 보면 개인투자자들은 일본 증시에 상장된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를 적극 순매수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아이셰어즈 20년물 이상 미국채 엔화 헤지’ ETF를 1억5393만달러(약 202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ETF는 미국 장기채에 엔화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에 더해 엔화가 반등할 시 환차익까지 추가로 얻는 전략을 노린 것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엔저 현상이 맞물리면서 엔화 상승 시 추가 이익을 얻는 ‘엔테크’가 인기를 끌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일본 주식 투자자들은 ‘글로벌 엑스 일본 반도체’ ETF의 비중도 확대했다. 일본 반도체 기업들은 미중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반사이이익을 볼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소니그룹, 아식스, 마루베니 등도 순매수 상위 목록에 올랐다.
홍콩 증시의 경우 개인투자자들이 순매도한 종목을 살펴보면 차익실현 성격이 짙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도한 홍콩 주식은 인터넷서비스 업체인 텐센트였다. 중국 반도체 위탁제조 기업인 SMIC가 뒤를 이었다. 이들 종목이 연초 주가 강세를 보이자 비중 축소가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상해A와 심천A 거래소를 포함한 중국 시장에서는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 비야디가 가장 많이 순매도한 주식이었다. 중국 1위 의약품 제조기업인 항서제약 건설기계 업체인 삼일중공업도 순매도 상위에 올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