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는 복수의 일본 정부관계자를 인용한 보도에서 “특정국에서의 수입비율이 높은 중요광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까지 (수입을) 의지할 것인가를 목표로 정한다”며 “다른 나라에서의 수입을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목표치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회의를 가진 G7 정상들의 모습. 히로시마=AP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탈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니켈, 코발드, 리튬 등 중요광물은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EV나 축전지, 태양광 패널 등의 제조 원료이지만 특정 국가에 생산이 편중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중국의 비중이 크다.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MEC)의 2021년 통계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리튬의 81%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중국은 또 자원의 가공, 정제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요미우리는 “2021년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를 보면 정제 공정에서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리튬이 58%, 코발트가 65%, 니켈이 35%”라고 전했다.
중국이 이같은 상황을 활용해 자원을 무기화하며 다른 국가에 압력을 가하는 사례가 반복되자 G7의 경계심이 한층 높아졌다.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경제안보가 중요 주제가 되어 중요광물의 ‘탈중국화’를 이룬다는 데 합의했다. G7 각국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중요광물 공급원의 다양화를 어떻게 도모해야 하는지 IEA의 제언을 요구한다”고 명시했다.
요미우리는 “IEA는 의존도를 낮출 중요광물 선정을 진행 중이며 올해 안에 구체적인 제언을 마련할 방침”이라며 “특정국가 의존도를 낮출 구체적 대책으로 G7이 다른 자원국에 공동투자를 하는 안도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