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韓, 이대로면 취업자 평균연령 54세…국가 경쟁력 위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상의 SGI ‘취업자 고령화’ 보고서

2022년 46.8세에서 2050년 53.7세로

OECD 평균 43.8세보다 9.9세 높아

고부가 산업 주축인 20~30대 줄어 위기

동아일보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에 일회용 무임승차권을 발권할수 있는 무인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뉴스1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현재 47세에서 2050년 54세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20~30대 취업자 비중 감소는 고부가 산업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1일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보고서를 통해 국내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30년 50세를 넘어서고 2050년 53.7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계청의 장래 인구추계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 및 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경제협력기구(OECD) 2050년 취업자 평균 연령인 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다. SGI는 지난해 취업자 평균 연령을 46.8세로 추정했다.

동아일보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GI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한데 국가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출산율 저하가 예상보다 심화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는 예측치보다 더 빠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령 노동자가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낮은 저위기술,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주로 활동한다는 점도 문제다. SGI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저위기술 산업에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50세 이상이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 사업지원(57.1%) 등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의 제조업, 정보통신(16.8%), 전문과학기술(23.8%)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기업은 고위기술직을 뽑을 때 초기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할 가능성이 높은 젊은 인력을 선호한다”며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릴 수 있다”고 했다.

지역별로도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지역의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위원은 “지역별로 고령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면서 수도권 중심으로 고위기술 업종이 집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가 인력 매스매치와 산업경쟁력 저하, 지방소멸 등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출산율 제고, 취업자 생산성 향상, 산업별 인력 수급 문제 해결 등 종합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