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미-파푸아 방위협정 목적, 대만·남중국해서 중국과의 유사시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닛케이 "미-파푸아 방위협정, 중국과의 유사시 대응"

대만·남중국해서 유사시, 파푸아 작전기지로 활용

6개 시설 15년 이용, 연장 가능, 합동군사훈련 상정

오스틴, 현직 미 국방으로 첫 파푸아 방문

아시아투데이

지난 5월 22일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하우스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도서국 협력 포럼에서 제임스 마라페 파푸아뉴기니 총리(가운데)가 지켜보는 가운데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왼쪽)과 윈 바크리-다키 파푸아뉴기니 국방장관이 안보협력협정(DCA)에 서명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미국이 파푸아뉴기니와 방위협력협정(DCA)을 체결한 목적이 대만 문제 등 중국과의 유사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윈 바크리-다키 파푸아뉴기니 국방장관이 지난 5월 22일 파푸아뉴기니 수도 포트모르즈비에서 서명한 DCA 전문을 입수해 이같이 전하고, 미국이 태평양에서 세력 확장을 꾀하는 중국에 대항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양국 정부는 파푸아뉴기니 의회가 이 협정을 비준하면 전문을 정식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협정의 유효 기간은 15년으로 하고, 양측의 반대가 없으면 연장된다.

미군은 이 협정에 따라 파푸아뉴기니 북부 롬브룸 해군기지·모모테 공항, 수도 포트모르즈비와 중부 라에의 항구와 공항 등 6개 시설을 이용하게 된다. 향후 필요에 따라 미군이 이용 가능한 시설을 추가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아시아투데이

남태평양의 섬나라 파푸아뉴기니./구글 지도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롬브룸 해군기지가 있는 마누스섬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과 일본군이 치열하게 전투를 펼쳤던 태평양 요충지 중 한 곳이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도 2018년 이 기지 확장 계획 참여를 선언하는 등 호주와 협력해 파푸아뉴기니에 대한 관여를 강화해 중장기적으로 기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지난 5월 20~21일 일본 히로시마(廣島)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마친 후 호주와 함께 파푸아뉴기니를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공화당과의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상향 협상 때문에 취소한 바 있다.

협정문은 이 협정 목적을 '국방 관계를 더욱 강화해 공동의 안전보장 과제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협정문은 미군의 파푸아뉴기니 시설 이용의 목적으로 자연재해 대응·인도적 지원과 별도로 '예측 불허의 사태에 대한 대응'을 명시했다.

미국이 대만 주변이나 남중국해에서 중국과의 유사시에 대비해 파푸아뉴기니를 작전기지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실제 협정문에는 미군이 6개 기지에서 항공기와 함정에 연료를 공급하는 것 외에 군사물자 비축을 검토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아울러 합동군사훈련도 상정됐다. 양국은 기지에서의 미군 활동 내용과 이용 조건에 관해 세부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전날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이 다음 주 파푸아뉴기니와 호주 방문을 위해 출국할 것이라며 제임스 마라페 총리·바크리-다키 국방장관 등을 만나는 파푸아뉴기니 방문은 현직 국방장관으로서는 처음이라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