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증가율 2%, 성장률 4%'
유지해야 2036년 달성 가능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 그래픽=김문중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계부채 규모를 국내총생산(GDP)의 80% 정도로 낮추려면 최소 13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명목 GDP 성장률을 웃돌지 않도록 지속 관리한다'는 전제하에 나온 것이다.
17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이 낸 '장기구조적 관점에서 본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과 영향 및 연착륙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연평균 명목 GDP 성장률 4%, 명목 가계부채 증가율 2%'로 가정한 경우 2036년쯤 가계부채가 GDP 80% 수준으로 내려앉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앞서 "가계부채는 GDP 대비 80%가 이상적"이라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2022년 4분기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GDP 105%로 주요 43개국 중 3번째로 높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가 GDP의 100%에 도달하는 데만도 2~14년이 걸린다. 명목 성장률 4%, 가계부채 증가율 2~3.6%로 가정한 결과다. 주요국도 가계부채를 GDP 수준으로 낮추는 데 최소 5년(노르웨이, 아일랜드)에서 18년(덴마크, 네덜란드)이 걸린 데다, 우리 가계는 처분이 어려운 실물자산 비중이 높아 디레버리징(부채 감소)이 더딜 수밖에 없다.
경로별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전망. 한국은행 보고서 발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소득 대출자 비중이 높고, 담보 물건의 실제 가치 대비 대출액(담보인정비율·LTV)이 낮은 편이라 가계부채가 당장 금융 불안정으로 이어질 위험은 적다. 그러나 "장기 성장률을 낮추고 자산불평등을 확대하기 때문에 점진적인 디레버리징이 필요하다"는 게 보고서 주장이다. 자산불평등과 관련, 소득 5분위(고소득) 가구 중 신규 대출받은 가구의 순자산 증가액은 부채가 없거나 상환한 가구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4분위 가구는 대출과 순자산 증감 사이의 관련이 뚜렷하지 않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가 완만하게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주요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는 ①가계대출의 수익성이 높고(연체율이 낮고) 자본 규제가 낮아 금융사의 선호도가 높고 ②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이 주요국 대비 5~7년 늦었으며 ③오랜 저금리에 투자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세자금대출 확대도 부채 증가에 기여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보고서는 ①금융사의 가계대출 취급 유인을 줄이고 ②대출 문턱을 높여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후자의 경우 △DSR 예외 대상 축소 △LTV 수준별 차등금리 적용 △일시상환방식에 가산금리 적용 등을 언급했다. 전세·중도금 또는 만기 연장 대출에 DSR이 적용되지 않고, 만기일시상환식 대출 비율도 53.7%(지난해 말)로 높아 부채 체감도가 낮은 현실을 개선하자는 취지다.
보고서는 "거시건전성 규제 효과가 제약될 경우 통화정책으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제언도 덧붙였다.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정부가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가계부채가 늘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겠지만, 갑자기 크게 늘어난다면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이창용 총재 발언과 같은 맥락이다.
윤주영 기자 roza@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