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의 전면 파업은 19년 만으로,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와 간호사 1명당 환자 5명 제도화, 공공병원 지원 등이 핵심 요구사항이다. 의료 현장에서 간호사들의 업무과중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간호사 1명당 평균 환자 수가 16.3명으로, 미국(5.3명)·일본(7.0명) 등 주요 선진국의 2~3배에 이른다. 숨돌릴 새 없이 이리저리 뛰어다는 일이 일상이다 보니 아예 일을 그만두는 간호사들도 적지 않다. 현장인력은 자꾸 줄고 업무는 폭증하는 악순환이 생기는 것이다. 간호인력을 늘려야 하지만 고령화 사회구조로 수요가 더 늘어 충당이 쉽지 않다. 간병비 부담을 줄이고 질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환자와 환자 가족도 반기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확대도 간호인력이 충원돼야 가능한 일이다. 정부도 손 놓고 있는 건 아니다. 지난 4월 ‘간호인력 지원 종합대책’을 발표, 간호사 1명당 환자 수를 5명으로 줄이기로 하고 간호대학 신입생 정원 확대, 병원의 충분한 간호인력 채용을 위한 건강보험 수가 인센티브 강화방안을 내놨다. 방향은 맞는데 로드맵에 구체적인 수치가 빠져 실행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노조는 13, 14일 이틀을 파업 일정으로 잡았지만 문제는 기간이 늘어날 때다. 병원과 노조 협상이 타협점을 찾지 못해 대화를 중단한 곳이 전체 145개 병원 가운데 130곳에 달한다. 장기 파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가뜩이나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의료 공백으로 안타까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화할 경우 국가 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는 우선 파업으로 인한 필수의료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대책 마련과 함께 노조와도 적극 대화에 나서기 바란다. 당장 해결하기 어려운 인력 충원 등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무엇보다 환자 생명이 달린 수술실 문을 닫는 건 정부와 병원, 노조 모두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