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나토·우크라 이사회 신설… 정식 회원국 위한 '교두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톨텐베르그, 나토 정상회의 앞두고 의제 설명

"우크라이나, 나토와 더 가까워지도록 도울 것"

韓 등 초청 이유로 "우리 안보는 세계적이므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일명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가 창설될 전망이다. 이 기구는 러시아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우크라이나를 위한 나토의 지속적인 군사원조를 보장하고, 전후 우크라이나의 나토 회원국 가입에 관해서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나토 정상회의 의제 설명회를 가졌다. 나토 정상회의는 오는 11, 12일 이틀간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열릴 예정이다.

세계일보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이 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곧 열릴 나토 정상회의 의제를 설명하고 있다. 브뤼셀=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정상회의도 러시아와 싸우는 우크라이나 지원이 가장 중요한 의제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정상회의를 통해 우리는 우크라이나를 더 강하게 만들고, 우크라이나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관한 3가지 안건을 일괄 타결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3가지 안건이란 △우크라이나군이 나토 군대와 함께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의 상호운용성 확보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설립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논의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우크라이나가 나토 회원국이 되려는 목표에 한층 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동맹국 정상들이 단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우크라이나군이 여전히 소련(현 러시아) 시절의 무기 위주로 무장돼 있는 점을 거론하며 “나토에서 쓰는 표준 장비로의 전환을 도울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가운데 눈길을 끄는 건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설립이다. 한마디로 우크라이나가 군사원조나 가입 조건 협상 등을 놓고 언제든 나토와 접촉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마침 나토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첫 회의도 열린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사회 첫 회의를 위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토는 우크라이나를 조속히 회원국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과거 나토가 우크라이나의 회원국 가입 요청을 거절하는 바람에 블라미디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판을 했고, 결국 ‘우크라이나의 서방 편입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침공을 강행했다는 것이다.

세계일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이 7일(현지시간) 튀르키예를 방문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1, 12일 나토 정상회의를 앞두고 나토 회원국인 튀르키예의 지원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앙카라=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등 나토 주요 회원국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와 별개로 나토 가입 문제만큼은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일단 전쟁 중인 나라가 나토 회원국이 될 수는 없다. 또 민주주의, 정부의 공정성과 투명성, 반(反)부패 등에서 일정한 수준을 충족해야 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한 나라만을 위해 나토 가입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단언했다.

우크라이나 입장에서 나토·우크라이나 이사회 설치가 썩 만족스러운 결론은 아니나, 나토 가입으로 가는 여정에서 교두보를 확보한 것 정도의 의미는 있다.

한편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번 정상회의에 나토 회원국이 아닌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앞서 우리 대통령실도 윤석열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1, 12일 리투아니아를 방문할 것임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인도태평양 4개국 정상을 초청한 이유에 관해 “우리 안보가 지역적인 것이 아니라 세계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인도태평양 파트너 국가들과 사이버 안보, 해상 안보 그리고 신기술 등 사안에서 더욱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