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안보세미나 '한국형 핵억제 전략과 핵추진 잠수함 필요성'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3.06.12.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등과 만나 이른바 '보수 연합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을 두고 "원론적이고 상식적인 일"이라며 동조 의사를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친윤(친윤석열) 세력에 대항한 반윤 연대란 해석에 대해선 "과민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일축했다.
안 의원은 4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선거에선 연합을 하고 우군을 많이 확보하는 쪽이 이기게 돼 있다. 지금 선거 구도에서 보수와 중도 연합을 다시 복원하는 게 승리의 필수라고 받아들였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걱정되는 것이 지난 대선 결과가 나왔을 때 중도라든지 무당층에서 현재 대통령 지지율이 훨씬 더 높았다. 그런데 지금은 아주 일관되게 20% 정도로 (지지율이) 묶여 있는 것이 반 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며 "이것들을 어떻게 복원시키는가가 이번 선거의 승패를 가름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최 전 부총리가 주장한 보수 연합군 필요성 역시 중도 진영 포용 측면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 의원은 '최 전 부총리 발언이 중도 포용론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면 되겠느냐'는 질문에 "선거에서 이기려면 우군을 확보하고 연합군이 필요하다는 그런 뜻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보수 연합군에 본인을 비롯해 이준석 전 대표, 나경원·유승민 전 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된 것을 두고 일각에서 반윤 세력이 뭉치는 것 아니냐는 해석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안 의원은 "(그런 해석은) 너무 나간 것 같다. 오히려 어떻게 하면 우리 진영이 이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이지 그 이상 우려되는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며 "너무 과민 반응할 필요는 없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친박계 좌장으로 불리는 최 전 부총리는 최근 이 전 대표와 이준석계로 분류되는 김용태 전 청년최고위원, 이기인 경기도 의원 등 청년 정치인들과 만찬을 갖고 보수 대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최 전 부총리는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이 0.73%포인트(p) 격차로 신승을 거둔 것을 거론하며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나경원·안철수·유승민·이준석·박근혜 등 보수 가치에 동의하는 인물들이 보수 연합군으로 뭉쳐야 한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안 의원은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인 경기 성남 분당갑을 지키겠단 의지도 밝혔다. 안 의원은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총선에 나오면 안 의원 지역구로 돌아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는 질문에 "제가 분당에서 당선된 지 만 1년 됐다. 정치인이 지역구를 함부로 옮기는 것은 아니다"라며 "재보궐 선거로 1년 10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은 사람은 주민들과의 약속이나 공약을 지키기 위해 한 번 더 나가는 게 지금까지의 정치권에서의 통행"이라고 했다.
이어 "저 같은 경우엔 판교 테크노밸리가 처음 생겼을 초기에 안랩 사옥을 지었다. 그 당시에 이 지역이 판교역하고 안랩 사옥 밖에는 없고 전부 풀밭이었다"라며 "이 지역의 발전에 나름대로 기여했다는 자부심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실 이곳이 국민의힘이 그렇게 편하게 이길 수 있는 곳은 아니다. 20대 국회 때만 해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현역이었고 21대 초기에도 김은혜 수석이 0.7%p차로 겨우 이겼던 박빙의 승부가 나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당 지도부와 지역구에 대한 교통정리가 끝난 것인가'란 질문에 "(지도부가) 객관적으로 판단하실 것"이라며 "(김은혜 수석은) 여러가지 가능성들을 고민하는 것으로 저는 들었다"라며 "아직 여러가지 해야 할 역할들이 정부 내에서 많을 수도 있다. 총선에 나갈 것인지는 본인 결심에 달린 것 아닌가 싶다"고 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