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대상 강력범죄 점검]③
“부산 돌려차기 사건, 남 일 같지 않아”
공공장소서 ‘몸매’평가…귀갓길 뒤따라와
‘연애·출산 기피’도…“두려움, 가해자 몫 돼야”
서울 광진구 화양동 인근 원룸촌에 사는 이모(25)씨는 부산 중심가 서면에서 20대 여성이 폭행당한 ‘부산 돌려차기’ 사건이 남 일 같지 않다. 자취 5년 차인 그녀는 “밤늦게 집에 갈 때면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걷는다”고 귀갓길 ‘공포’를 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가 28일 만나 인터뷰한 20대 여성들은 모두 ‘일상 속 공포’를 호소했다. 서울 관악구에 사는 이혜민(28)씨는 “버스정류장에서 40대로 보이는 남성과 눈이 마주쳤는데 그 후로 계속 뒤를 따라왔다”며 집으로 곧장 가지 못하고 주변을 돌면서 시간을 끌었던 경험을 전했다. 이모(22)씨도 “지하철역에서 낯선 남성이 ‘몸매 좋네’라고 말하는데, 그 말 자체만으로도 무서웠다”고 말했다.
‘가장 안전해야 할 곳’, 집과 직장에서도 공포는 가시지 않는다고 했다. 자취하는 김모(26)씨는 “새벽 3시쯤 같은 건물에 사는 남자가 술에 취해 집의 잠금장치를 풀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는데 아침까지 잠들지 못하고 무서웠다”고 말했다. A(29)씨는 “회사 화장실에 설치된 ‘몰카(불법촬영 카메라)’가 발각된 지 오래되지 않았다”며 “이후 화장실벽과 바닥에 있는 구멍을 모조리 막았지만, 그 이후에도 신경 쓰여 화장실 가는 게 불편해졌다”고 ‘몰카 트라우마’를 토로했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여성이 표적이 된 강력범죄가 잦다 보니 일부에선 ‘연애·출산 기피’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B(29)씨는 “몰카나 교제폭력(데이트폭력) 소식이 너무 자주 들려 불안하다 보니까 어느 순간 연애에 관심이 줄고, 아예 안 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모(27)씨는 “아들보다 딸이 사는데 안전하지 않은 사회”라며 “아이를 낳지 않는 게 마음이 편할 것 같다”고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어떻게 해야 여성들의 공포감이 줄어들까. 이들이 느끼는 일상의 공포에 공감하고, 범죄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여성들은 말했다. 50대 남성 집주인에게 공동현관뿐 아니라 복도에 CC(폐쇄회로)TV를 요청했다는 김씨는 “저뿐 아니라 옆집 여성도 취객이 집까지 따라오는 피해를 봤는데 ‘예민하게 굴지 마라’며 거절당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여성 대상 강력범죄가 발생했을 때 우리 사회가 얼마나 안전한지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여성의 불안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이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력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단 목소리도 있다. 오모(24)씨는 “범죄자의 얼굴·이름·나이 등 신상공개가 되면 사람들에게 각인돼 ‘절대 범죄를 저지르면 안 된다’는 경각심을 심어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범죄는 확실한 처벌을 받는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씨는 “신상공개엔 과거 증명사진이 아닌 현재 얼굴(머그샷)을 보여줘야 한다”며 “음주나 정신과 병력엔 관대한 분위기인데 감형을 없애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
전문가들도 피해자의 불안에 기댈 게 아니라 가해자에 처벌 두려움을 줘야 사회가 바뀔 것이라고 했다. 허민숙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묻지마 범죄에서 여성의 피해가 큰데 이를 가볍게 처리해온 과거를 학습한 결과”라며 “불특정 공간에서의 강력범죄는 피해 정도나 심각성을 고려해서 신상공개를 강화하고, 가해자가 형을 마치고 나올 때 모니터링과 보호감찰을 확대해 행동반경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