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6G 주도권 전쟁

6G 전자파 흡수 소재 상용화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료연구원, EG에 기술이전
위성·스텔스·레이더 센서에 활용


파이낸셜뉴스

한국재료연구원 이영선 부원장(가운데 오른쪽)이 14일 ㈜EG 제영태 사장(가운데 왼쪽)과 입실론 산화철 제조 기술이전 협약식을 맺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재료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재료연구원(KIMS)이 세계 1위 고급 산화철 제조업체 ㈜EG와 손잡고 6G 전자파 흡수 소재 상용화에 나섰다.

재료연구원은 14일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 대회의실에서 ㈜EG와 함께 '입실론 산화철 제조기술' 기술이전 협약식을 가졌다.

입실론 산화철은 고보자력(20kOe)을 가져 밀리미터파(50~200GHz)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소재다. 재료연구원은 EG와 함께 이 입실론 산화철을 연속으로 제조하는 공정기술을 상용화를 앞당길 예정이다.

기존 전자파 흡수 소재는 고주파 대역에서 흡수능이 감소하거나 주파수 대역의 제어가 어렵다. 입실론 산화철은 광대역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어 미래 통신 부품 소재의 핵심 소재로서 의미가 크다. 5G·6G 무선통신 및 저궤도 위성통신 부품, 스텔스, 레이더 센서 등에 사용이 가능하며, 고보자력 자성소재인 만큼 미래 모빌리티의 전장부품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재료연구원 백연경 박사는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밀리미터파 흡수 자성 소재를 상용화할 수 있다면, 향후 밀리미터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기기, 자율주행차 레이더 및 우주 위성 통신용 흡수체 시장에서 더욱 앞서나갈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술을 이전받은 ㈜EG는 1987년 설립된 국내 최고의 산화철 제조업체로 고순도 고급산화철 분야에서 세계 1위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페라이트의 주요 원재료인 산화철은 전기차 및 가전제품의 변압기와 모터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EG는 산회수(Hydrochloric Acid Facility) 설비의 설계와 시공, 운전 능력을 모두 겸비하고 있다.
#상용화 #전자파 #스텔스 #흡수 #6G #재료연구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