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기록물 수장고, 옛 국군 광주병원→5·18 교육관 변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군광주병원 안전성 미흡…대체 장소 물색

연합뉴스

5·18기록관 수장고
[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포화상태인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수장고 확충 계획이 변경됐다.

5·18 사적지인 옛 국군 광주병원의 기록물 저장 장소로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에 대체 부지를 물색하게 됐다.

13일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 따르면 기록관은 서구 화정동 옛 국군 광주병원 건물 일부를 리모델링해 기록물 보존 시설을 확충하려 했으나 최종적으로 불가 판단을 내렸다.

이 건물은 5·18 사적지 23호로 지정돼 2014년 국유재산 양여를 통해 국방부에서 광주시로 소유권이 넘어왔다.

그러나 건축물대장이 없는 건물로 확인돼 양성화를 위해서는 건축법 등 기준에 충족되는 보수, 보강이 필요했다.

기록관은 건물 3분의 1가량을 리모델링하려 했지만, 정밀안전 진단 결과 안전 등급 D등급으로 전체적인 공사가 요구됐다.

전체 공사에는 훨씬 많은 예산이 소요돼 국비와 시비 160억원씩 320억원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나왔다.

병원 건물은 각 실이 소규모로 구분된 데다가 층고도 낮아 기록물 반입, 보관, 전시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건물을 철거하는 방법도 검토됐지만 5·18 사적지로서 상징성을 고려하면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

기록관은 전남대, 5·18 교육관 등 대체 부지를 물색한 끝에 5·18 교육관 인근 공터에 수장고를 신축하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이다.

다만 목적은 같다고 해도 내용이 상당히 바뀐 탓에 사업 추진 과정에서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다시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인화 5·18 기록관장은 "행정안전부에 충분히 설명하고, 부지를 확정하는 대로 실시설계 용역 등에 들어가 2026년까지 수장고를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18 기록관 5층에 있는 수장고에는 지난해 말 현재 제1 서고에 문서와 사본 7천536점, 제2 서고에 유품 등 원본 자료 1만1천312건, 제3 서고에 예술작품과 박물 409점, 외부 서고에 문서와 도서 간행물 6천354점 등 2만5천여점 기록물이 보관 중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기록물도 3천801점에 달하지만 95%가량 저장 공간이 들어차 시설 확충이 추진되고 있다.

sangwon700@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