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국내 유일 국부펀드 KIC 유치” 부산·전주 신경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 이전이 사실상 확정된 KDB산업은행에 이어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 본사도 지방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치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9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IC 본점을 서울에서 전주시로 이전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민연금공단에 이어 KIC가 전주로 이전할 경우 자산운용 중심 금융특화 도시 건설이라는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입장이다.

KIC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서 위탁받은 외화를 해외에서 운용하는 국부펀드다. 200조원이 넘는 자산을 운용한다. 외환보유액과 연기금 및 공공부문 여유자금으로 공공부문 해외투자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KIC는 한국투자공사법상 해외 자산에만 투자할 수 있고, 위탁받은 자산을 외국에서 외화표시 자산으로 운용해야 한다.

현행법상 KIC의 주된 사무소 소재지는 정관으로 정하도록 규정한다. 정관에서는 주된 사무소를 서울특별시에 두도록 하고 있다. 전주에서는 오랜 기간 KIC 유치에 공을 들여왔다.

최근 산은뿐만 아니라 KIC도 부산에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4월 김희곤(부산 동래)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하고 부산시와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주관 하에 국회에서 열린 ‘국가 균형발전 및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 토론회’에서는 산은을 비롯해 예금보험공사, IBK기업은행,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수출입은행, KIC,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7개 정책 금융기관이 이전해야 부산 금융중심지가 육성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도의회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최형열 의원(민주당 전주5)은 8일 제 410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산은 부산 이전이 추진되고 전북이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는 KIC도 부산에서 유치에 힘쓰고 있다”면서 “전라북도가 공공기관 추가 이전 안이 확정되기 전에 이전 문제를 확실하게 매듭짓지 못하면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다.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이에 “향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융계와 학계가 참여하는 전담팀 구성을 검토하고 전북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 용역도 선제적으로 추진해 금융중심지 지정 당위성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