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수소 전기 사고 판다···세계 최초 입찰시장 개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국내 한 수소충전소의 모습(기사 내용과 무관).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국내에 수소로 생산한 전기를 사고파는 입찰 시장이 문을 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세계 최초로 수소발전 입찰 제도를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수소발전 입찰 시장은 수소 또는 수소화합물(암모니아 등)을 연료로 생산된 전기를 구매·공급하는 제도다.

이날 첫 입찰 공고가 나갔다. 구매자인 한국전력과 구역전기사업자는 산업부가 고시한 바에 따라 수소 발전량을 구매해야 한다. 공급자인 수소발전사업자는 경쟁입찰을 통해 수소로 발전한 전력을 구매자에게 공급한다.

그동안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를 통해 수소로 생산한 전력을 보급해 왔다. RPS는 발전사업자들이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해 공급하도록 하는 제도다.

하지만 태양광·풍력과 달리 수소는 별도의 연료비가 필요하고 터빈, 엔진, 암모니아 혼소 등 다양한 수소발전 관련 기술들이 요구되는 점을 감안해 RPS에서 분리, 별도의 입찰 시장을 개설한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수소 입찰시장은 사용 연료에 따라 일반수소와 청정수소 시장으로 구분된다. 이번에 개설된 시장은 일반수소 발전시장이다.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으로 분해해 만드는 ‘개질수소’와, 석유화학·제철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 등을 사용한 발전사업자도 일반수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다. 개질수소와 부생수소는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그레이 수소’로도 불린다.

청정수소 발전 시장은 ‘청정수소 인증제’ 등 제도를 마련한 뒤 내년 상반기 문을 열 예정이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했거나 아예 배제한 블루수소·그린수소를 사용한 발전사업자들만 청정수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일반수소 입찰 시장은 상·하반기 각 1회씩 개설한다. 올해 상반기 입찰은 전력거래소를 통해 이날 공고됐다. 입찰 물량은 올해 전체 물량인 1300기가와트시(GWh)의 50%인 650GWh이다. 최종 낙찰자는 발전단가와 전력계통 영향, 산업·경제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8월 중순 선정할 계획이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