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물가와 GDP

소득 중·하위가구 물가 상승률, 고소득가구보다 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가구특성별 물가상승률’ 공개

고령층이 청년층보다 물가상승률 더 높아


한겨레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하위 소득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고소득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하위 소득 가구가 주로 소비하는 품목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2일 공개한 ‘2021∼2022년 가구 특성별 소비자 물가 작성 결과’를 통해 “전반적으로 2인 이상, 60살 이상, 근로자 외, 소득 및 지출 중·하위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다른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가구 특성별 물가 상승률을 별도로 집계해 발표한 건 2017년 이후 처음이다. 통상 소비자 물가는 국내 전체 가구의 평균 소비 지출액 비중을 바탕으로 품목별 가중치를 정하고 이를 가중 평균해 평균적인 물가 변동을 측정한다. 그러다보니 소비 품목이 서로 달라 가구 특성별로 다르기 마련인 물가 부담은 알기 어려웠다.

통계청은 이런 점을 고려해 가구별로 지출 비중이 큰 품목의 가중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가구 특성별 물가 상승률을 구했다. 예를 들어 1인가구는 전체 소비 지출액의 25.4%를 주택·수도·전기·연료 등에 쓰는데, 이 품목의 가중치(합계 1000)를 254.2로 높이는 식이다.

조사 결과 를 보면, 중·저소득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고소득 가구보다 높았다. 2021년 균등화 소득(가구원 수를 고려한 소득) 하위 20% 가구의 물가 상승률은 2.7%로,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 사이인 중위 가구(2.5%), 상위 20% 가구(2.4%)를 웃돌았다. 저소득 가구의 물가 부담이 중·고소득 가구는 물론 전체 평균(2.5%)보다도 더 컸던 셈이다.

이는 하위 20% 가구의 소비 지출액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20.5%로, 중위(15.6%) 및 상위(12.6%) 가구보다 크기 때문이다. 2021년 식료품·비주류 음료 가격 상승률은 5.9%로 전체 물가 상승률(2.5%)을 2배 넘게 앞질렀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이 같은 소득 수준별 물가 격차가 축소됐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전체 평균 5.1%)은 소득 중위 가구가 5.2%로 가장 컸고, 하위 20% 가구(5.1%), 상위 20% 가구(5%)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엔 휘발유·경유 등 석유류와 찻값 등이 주로 급등세를 보였는데, 중·고소득 가구의 교통비 지출 비중이 저소득 가구보다 큰 까닭에 소득별 물가 상승률 차이도 완화된 셈이다.

가구원 수별로는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5.1%로 1인가구(4.8%)보다 높았다. 나이별로 보면 60살 이상이 5.3%로 가장 컸고, 이어 40∼59살(5.1%), 39살 이하(4.9%) 순이었다. 또 가구주가 근로자가 아닌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5.2%로 근로자 가구(5%)보다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특성별 물가 지표는 정식 국가 승인 통계는 아니다. 통계청은 향후 이 통계의 신뢰성 등을 검증해 국가 승인 통계 전환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대통령 말 한마디에 ‘민중의 지팡이’에서 ‘정부의 몽둥이’ 되다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