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물가상승률, 조만간 2%대로?" 원유가격·공공요금·폭염은 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하며 2개월 연속 3%대에 머물렀다. 2023.06.0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꾸준히 둔화해 5월까지 두 달째 3%대를 기록하며 연내 2%대까지 내려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근 국제 유가 하락세와 지난해 중순 물가가 급등했던 기저효과가 주요 하방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하반기 국제 에너지 가격이 다시 뛰고 공공요금이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는 등 변수가 많아 물가 안정세 지속을 장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둔화해 5월 3.3%까지 내려왔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 14개월 만에 3%대(3.7%)로 내려온 후 두 달째 3%대를 이어갔다.

물가상승률 둔화의 주요 원인은 국제 유가 안정세에 따른 석유류 가격 하락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배럴당 108.3달러에 달했던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지난달 75.1달러까지 내려왔다. 이에 따라 5월 석유류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18% 떨어지며 전체 물가를 0.99%포인트(p) 끌어내렸다.

기획재정부는 "물가 둔화 흐름이 계속 이어지는 모습"이라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국 중 3%대 물가상승률을 보이는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7개국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국제 유가 안정세와 지난해 중순 물가가 급등했던 기저효과 영향으로 물가상승률은 당분간 둔화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5월 5.4%에서 6월 6.0%로 오른 후 7월 6.3%로 정점을 찍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팬데믹 이후의 정책과제(Policy Challenges After the Pandemic)'라는 주제로 열린 2023년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정책 대담을 하고 있다. 2023.06.0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연내 2%대로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물가상승률이 2%대를 기록한 것은 2021년 8월(2.4%)이 마지막이었다. 물가상승률이 2%대로 내려갈 경우 한은의 기준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물가가 확실히 목표 수준인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는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국제 에너지 가격 불확실성이 큰 점은 변수로 평가된다. 전기·가스요금이 지난달 16일부터 올라 5월 물가상승률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고 올해 3·4분기에 추가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물가 상방 요인으로 꼽힌다. 폭염 등 기상 여건 변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가능성, 최근 구제역 확산으로 인한 축산물 가격 상승세 등도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2%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가 연말경에는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국제 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공공요금 인상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향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기상 여건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물가 안정 기조 안착을 위해 대응을 지속할 것"이라며 "품목별 가격·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며 필요시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