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6G 주도권 전쟁

출범 10주년 맞은 5G포럼… '6G포럼' 으로 새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차세대 네트워크 민간 협력 강화"
과기정보통신부 6G포럼 출범식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5G포럼' 출범 10주년을 맞아 이를 '6G포럼'으로 재단장해 새롭게 출발한다.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포럼 10주년을 맞아 5G포럼을 6G포럼으로 새롭게 출범시킨다고 30일 밝혔다. 차세대 네트워크에 대한 민간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경쟁에서 한국의 주도권 확보를 뒷받침한다는 방침에서다. 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한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했다.

창립 10주년을 맞은 5G포럼은 2013년 5월 한국의 5G 선도를 위해 출범한 산학연 합동 포럼이다. 출범 이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5G 비전 수립 공헌, 통신 분야 국제 행사 개최, 해외 민간단체와 업무협약(MOU) 체결 등을 추진해 왔다.

5G포럼은 지금이 체계적으로 6G 준비에 속도를 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 6G포럼으로 명칭과 로고를 개편했다. 6G포럼은 앞으로 기존의 통신 분야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다른 산업과 통신을 융합하는 등 신규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는 데 역량을 기울일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2월 'K-네트워크 2030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6G 기술개발 투자를 기존의 원천 기술에 더해 상용화 기술, 소부장 표준까지 확대해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6253억원 규모(2024~2028년)의 예비타당성 조사도 진행 중이다.

이날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은 글로벌 6G 최신 동향과 국내 6G 방향성 등을 논의했다.

6G비전그룹 의장인 삼성전자 최형진 수석은 6G 기술 및 표준 동향을 발표하며 "미국 등 주요국들은 벌써부터 치열하게 기술패권 경쟁을 준비 중인 만큼, 한국도 기술개발과 표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우리가 네트워크에서 그동안 강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치열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우위를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미래 네트워크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민관 협력, 대중소 기업 간 협력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인 만큼 6G포럼이 우리나라가 차세대 네트워크 모범국가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