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말뿐인 생분해"…바이오플라스틱 PLA 섬유 분해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BS

셀룰로스와 PLA, 석유기반 섬유 분해 결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학 섬유에서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경각심을 갖고 생분해가 가능한 옷이 등장했지만 생분해를 내세우며 개발된 섬유도 실제 환경에서는 제대로 썩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 연구팀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시료를 바닷물에 담가두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섬유의 약 62%가 플라스틱이나 플라스틱이 혼합된 섬유로 길게는 수백 년까지 썩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에 함유된 젖산의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생물중합체인 '폴리젖산' 기반 섬유가 개발돼 생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연구팀은 식물 섬유소인 셀로룰스 기반 천연 섬유부터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 총 10종의 섬유 시료를 철망에 담아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 연안의 해수면과 10m 깊이 바닥의 바닷물에 담그고 주 단위로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셀룰로스 기반 천연섬유는 한 달 이내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폴리젖산 기반 섬유와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은 14개월에 걸친 실험 기간 내내 분해되는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폴리젖산 기반 섬유는 고온이 유지되는 통제된 시설에서 젖산으로 분해되지만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며, 생분해 물질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생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물질이 실제 자연환경에서도 그런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며 "합성섬유로 인한 오염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에게 구매하는 상품의 소재에 대해 제대로 알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Royer, et al. 제공, 연합뉴스)
조지현 기자(fortun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