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여전히 높은 중·저신용 대출 문턱···건전성 관리 고삐 죄는 금융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들어 연체율이 상승하는 등 금융회사 건전성에 경고등이 들어오자 금융권이 중·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을 축소하고 있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저소득자들이 1·2금융권에서 대출받기는 어려운 환경이 되고 있다.

2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 신용대출의 신규 취급액이 3억원 이상인 저축은행 33개사 중에서 12개사는 신용점수 600점 이하의 저신용자에게 대출을 실행하지 않았다.

21개사는 신용점수 501~600점 구간 차주(대출받는 사람)에게 대출해줬지만, 이 중 13개사는 해당 대출액의 비중이 1% 미만이었다.

‘중·저신용자 포용’을 기치로 내걸고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도 저신용자 대출을 항상 취급하지는 않는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10월부터 신용점수 650점 이하에 대한 신용대출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달 케이뱅크가 취급한 신규 대출의 평균 신용점수는 909점으로, 카카오뱅크(908점)와 비슷했고 토스뱅크(893점)보다 소폭 높았다. 인터넷은행 3사 모두 사실상 고신용자 위주로 대출이 이뤄진 셈이다.

인터넷은행이나 저축은행이 저신용 대출에 소극적인 이유 중 하나는 연체율이다.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자를 포용하라는 당국의 요구에 따라 중·저신용 대출을 빠르게 확대했다. 이런 상황에 금리 인상, 경기둔화가 겹치자 연체율이 일반 시중은행보다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케이뱅크의 지난 1분기 연체율은 0.82%로, 전년 동기보다 0.34%포인트 급등했다. 카카오뱅크 연체율도 같은 기간 0.26%에서 0.58%로 뛰었다. 지난 3월 은행권 평균 연체율이 0.33%인 것과 비교하면 인터넷은행 연체율은 높은 편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말 3.41%였던 연체율이 지난 1분기 5.1%로 상승했다. 5%대 연체율은 2016년 말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뿐만 아니라 수지타산 문제도 저신용 대출을 가로막고 있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10~11월 은행권과 자금조달 경쟁을 벌이면서 연 5~6%대 정기 예·적금을 판매했는데, 이들 상품의 만기가 도래했을 때 가입자에게 지급해야 할 이자 비용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조달 원가가 아직 높아 저신용 대출상품 판매를 늘리면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입장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수신상품 신규 금리가 많이 떨어졌지만 평균 잔액 금리는 여전히 높다”며 “지난해 판매했던 수신상품의 만기가 도래해 전체적으로 평잔 금리가 떨어지면 저신용 대출 창구가 다시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