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 G7서 ‘스탠딩 회동’…초밀착 상징적 장면
바이든, 尹·기시다 워싱턴DC 초청…‘워싱턴 3자 회담’
北 핵·미사일 대응, 공급망 등 경제안보 3국 협력 강화
G7 정상회의 참관국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1일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3국 간 공조를 ‘새로운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 공급망 등 경제안보 협력 등의 분야에서 3국의 초밀착 행보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보다 뚜렷해질 전망이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총리는 지난 21일 G7이 열린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스탠딩 회동’을 통해 3국간 협력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세 정상은 “대북억지력 강화를 위해서는 물론, 법치에 기반한 자유롭고 개방된 국제질서를 공고히 하는데 3국 간 전략적 공조를 더욱 강화하자”고 했다.
새로운 차원의 3국 공조에는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 방안과 공급망 등 경제안보 문제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정상들은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와 같은 3자 안보협력,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한 3자 공조 강화, 경제안보, 태평양도서국에 대한 관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 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미일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해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 계기, 지난해 11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 이후 세 번째다. 이날 회동은 약 2분간의 짧은 대화로 끝났지만, 한미 정상회담과 한일 정상 셔틀외교 복원(3월 서울, 5월 도쿄) 등으로 이어지는 ‘한미일 3자 협력 강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는 평가다.
G7 정상회의 참관국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환담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한일 관계가 정상화 국면에 들어간 후 첫 한미일 정상회동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했다. 회동 직후 발표된 백악관 성명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용기 있게 노력한데 대해 찬사를 보낸다”며 “(한미일) 3국 파트너십과 인도태평양이 더 강해지는 것은 여러분의 노력 덕분”이라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일 스탠딩 회동’에 앞서 21일 오전 기시다 총리와 함께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내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찾아 처음으로 참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진 한일 정상회담에서 “평화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시다 총리의 용기있는 행동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했고, 기시다 총리는 “한일 양국의 평화와 세계 평화, 번영을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한미일 3국 공조’의 ‘정점’은 워싱턴DC에서 열릴 ‘3자 회담’이 될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를 ‘한미일 3자 회담’을 위해 워싱턴DC에 초대했다고 로이터·AFP 통신이 미국 고위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관리는 “워싱턴 3자 회담 시기가 곧 정해질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그 외 다른 세부사항은 알려지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친교 만찬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워싱턴 3자 회담’이 성사된다면 한미일 3국 협력이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그간 한미일 정상회담은 다자회의를 계기로만 개최됐으며, 별도의 한미일 3국 정상회담 제안은 이례적인 일이다.
3국 간 안보협력이 한층 심화하면서 한미일 정상이 지난해 11월 프놈펜 선언 당시 합의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 역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핵 억지력 강화를 위한 한미일 3국 간 핵을 포함한 신규 협의체 창설 가능성도 거론된다. 지난달 말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북 확장억제를 강화한 ‘워싱턴 선언’을 채택한 윤 대통령은 일본의 참여를 배제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yuni@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