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위한 공부 중이거나, 출산이나 육아 등으로 일을 멈출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말 그대로 "그냥" 쉬고 싶어서 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면 일할 의사조차 없는 걸로 간주돼서 실업률로 잡히지도 않는데요.
통계청 조사 결과 "그냥 쉰다"는 2030세대 청년 무직자는 지난달 66만 명에 달했습니다.
4050세대보다 많았는데, 이례적인 현상이라 당국에서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능력은 있어도 일을 할 의사가 없는 인구인데요.
30대만 보면 최근 10년간 4월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20대의 경우 코로나 19로 고용 한파가 닥쳤던 지난 2020년 4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쉬고 있는 2030세대가 4050세대보다 더 많은 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뒤로 2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인구가 대거 줄어든 2030 세대에서 오히려 쉬겠다는 사람이 급증하는 이례적인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겁니다.
[서운주/통계청 사회통계국장 : 청년층의 취업 감소가 실업으로 연결되기보다는 비경(제활동인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취업시장이 신규 채용보다는 경력직 채용으로 변하고 있는 부분이 때문에 청년층에는 시장 공급, 일자리 공급 측면에서 조금 유리하지 않은 그런 측면이 있을 거라는 생각은 들고요.]
통계청은 일단, 이렇게 쉬는 인구가 곧 취업포기로 직결되는 건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상당히 좋지 않은 신호인 건 명백한데요.
이렇게 막연히 일을 하지 않는 청년들이 느는 배경을 꼼꼼히 고민해야 합니다.
일단 청년층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가 줄었다는 게 큽니다.
실제로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상용직 청년 취업자는 1년 전보다 4만 5천명 줄었습니다.
반면 지위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 청년 취업자는 2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
청년층이 선호했던 배달업이 최근 하락세를 보이는 영향도 있습니다.
수익이 줄자 배달을 그만두고 쉬는 걸 선택했다는 겁니다.
지난 3월 음식 배달원을 포함한 운수·창고업 종사 청년층이 1만 5천명 줄며 반토막 났습니다.
[우석진/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 두 가지인데, (취업) 가능성이 없거나 일자리가 없거나, 아니면 내가 원하는 정도의 최소한의 조건도 맞출 수가 없다. 지금 노동 시장이 좋이 않기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구직 활동을 이제 중단을 한 거거든요. 그래서 조만간에 일자리를 찾을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그렇게 판단을 하고 노동시장에서 이탈을 하고 있는 것이거든요. 일자리를 지금 많이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그런 경제 여건에 있는 거죠.]
서둘러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겁니다.
여기에다 젊은 사람들이 이탈해 버리는 불안정한 일자리를 노인층이 메우는 현상이 이어질 거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연남 기자(yeonna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