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 속도로 난청 환자가 증가하면서 올바른 보청기 사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보청기 사용 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난청은 그 자체로 삶의 질을 낮추지만 방치하면 인지장애, 우울증, 치매 같은 질환의 진행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난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중이염이나 이소골 장애 같은 전음성 난청과 노화나 소음 환경이 원인인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다. 최근 늘고 있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난청 정도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보청기를 사용해 도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청력이 완전히 손상된 후에는 보청기를 통해 유의미한 청력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고도난청 환자는 보청기보다는 인공와우 이식술의 적응증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로 난청 유병률이 높아진 데 반해 보청기 사용률이 매우 낮은 편이다. 2010~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보청기가 필요한 40dB(데시벨) 이상 중등도 난청 유병률은 60대 12%, 70대에 26%, 80대 이상에서 53%였다. 65세 이상의 난청 유병률은 20~25%로 추정됐다. 하지만 2015년 조사를 보면 보청기가 필요한 인구 중 약 12.6%만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낮은 보청기 사용률의 원인은 다양하다. 보청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경제적 문제, 작은 효과, 이명, 이물감 등이 있다. 우선 보청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개선이 더욱 이뤄져야 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크기도 작아지고 사용도 편리해지고 있다. 난청이 있다면 안경을 끼듯이 보청기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경제적 이유 역시 보청기 사용을 꺼리게 만드는 요인이다. 현재 보청기 정부 지원은 청각장애(양측 60dB 이상, 또는 한쪽 40dB 반대쪽 80dB 이상)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보청기를 구입했더라도 실제 사용하지 않는 환자가 많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보청기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기존의 교체형 배터리 대신 충전식 배터리를 탑재한 보청기와 무선 충전 기술이 적용된 제품도 개발됐다. 이들 제품 중 환자 개인의 건강 및 청력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제품을 선택할 때 말소리가 뚜렷이 들리지 않거나 이물감에 착용을 꺼릴 수 있다. 이런 경향은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 없이 보청기를 구매해 사용하는 경우 심해진다. 한 연구에 따르면 보청기 착용 환자의 절반 이상이 사후 관리를 못 받았고, 절반이 조금 안 되는 숫자는 보청기 사용 자체를 포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번 나빠진 청력은 회복이 어렵다. 난청이 발병했다면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하에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를 받아야 한다. 전문의의 진단 후 이뤄진 보청기 착용은 난청 극복은 물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고령화 시대에 건강한 삶을 위해 난청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