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경찰·소방과 신속 대응
일본 아카시시 불꽃 축제 압사사고 유가족이 3월 1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이태원 참사 사고 현장을 찾아 헌화를 하고 추모 메시지를 남기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인파 밀집 장소를 사전에 파악해 위험도를 예측ㆍ경고하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제2의 이태원 참사를 막기 위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중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행정안전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리는 사업착수 보고회를 시작으로 시스템 개발에 들어간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위험기준 설정 및 분석 방법 등을 마련하는 연구 용역을 진행한 데 이어 이달 2일 사업자 선정 작업도 마쳤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은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 데이터에서 추출한 지형적 특성과 이동통신사 기지국 접속 데이터로 수집된 유동인구 수를 토대로 인파 밀집도를 분석한다. 위험이 감지되면 관심ㆍ주의ㆍ경계ㆍ심각 등 4단계 경보로 알린다. 밀집도 및 위험도 정보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상황실 내 지리정보체계(GIS) 통합상황판에 실시간으로 표출된다. 경보 알림이 뜨면 지자체는 폐쇄회로(CC)TV 영상으로 현장 상황을 확인한 후 경찰ㆍ소방과 함께 교통 통제, 인파 소산 등 관련 지침에 따라 신속한 대응에 나서게 된다.
9일 국무회의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이 의결돼 통신사 접속 데이터 수집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됐다. 행안부는 11월 대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거쳐 12월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5년에는 CCTV와 드론 영상을 활용해 인파 밀집 여부를 자동 인식ㆍ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해 시스템에 탑재하는 2단계 사업도 추진한다. 조상명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현장인파관리시스템으로 인파 사고에 대한 상시 대비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