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영업자 2금융권 대출액 78조 원 증가
저축은행 "리스크 발생 대비 위한 조치 하고 있어"
9일 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센터 자문위원장인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2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잔액은 401조3000억 원으로 전체의 39.4%로 집계됐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최근 자영업자 대출이 1000조 원을 돌파하고 2금융권을 찾는 자영업자의 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연체율도 동반 상승하면서 부실 리스크가 위험 수위에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2금융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대출 문턱이 낮은 업계 특성상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비율이 높아 연체율이 급등할 수 밖에 없으며 리스크 발생을 대비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9일 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센터 자문위원장인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2금융권의 자영업자 대출잔액은 401조3000억 원으로 전체의 39.4%로 집계됐다.
증가 추세도 눈에 띈다. 2금융권 자영업자의 대출잔액은 전년 대비 24.3%(78조4000억 원) 늘었다. 이는 은행권의 자영업자 대출잔액이 같은 기간 5.5%(32조2000억 원)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문제는 최근 경기악화로 자영업자의 상환능력이 떨어지면서 이에 따른 2금융권 연체율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중앙회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5.1%로 전년 말(3.4%)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이 연체율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포함한 총여신에 대한 연체율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를 넘은 것은 지난 2016년 말(5.8%) 이후 약 6년 9개월 만이다. 그동안 저축은행업계의 평균 연체율은 2018년 말 4.3%, 2020년 말 3.3%, 지난해 말에는 3.4%를 기록하며 안정적 수준을 나타냈으나 최근 1년 새 급등했다.
일각에서는 대출잔액 증가세 속에서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여파로 다중채무자의 부실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특히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2021년 4분기 0.8%에서 지난해 4분기 1.1%로 올라선 상태다.
2금융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대출 문턱이 낮은 업계 특성상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비율이 높아 연체율이 급등할 수 밖에 없으며 리스크 발생을 대비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 2금융권 관계자는 "업계 특성상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비율이 높아 연체율이 급등할 수 있어 이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각 금융사들도 스트레스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손실흡수능력 확대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는 등 위험관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2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에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더 이상 1금융권 이용이 어려운 차주들이 2금융권으로 유입된 것은 맞다"면서도 "다만 자영업자대출뿐 아니라 2금융권 전반적인 대출이 늘어난 상황이라 자영업자 대출의 부실리스크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권 연체율이 오르기 시작하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자 건전성 관리에 대해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직접 설명했다. /박헌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같은 해명에도 금융권 일각에서는 사태의 심각성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9월이면 코로나19 만기 연장·상환유예 조치가 끝나고, 저축은행 등의 부동산 PF 대출도 상당수 만기가 올해 하반기에 돌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2금융권의 경우 3개 이상의 금융사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비율이 높아 한 금융사에서의 연체가 다른 금융사에서 연체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다중채무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고금리업권으로부터의 대출 비중도 증가하고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어 적극적인 정책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30조 원의 새출발 기금의 집행을 재점검하고 필요시 현재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해 원금 탕감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채무 재조정을 촉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권 연체율이 오르기 시작하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자 건전성 관리에 대해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직접 설명했다.
이 원장은 현지시간 9일 오전 싱가포르 팬 퍼시픽 호텔에서 금감원·금융권 공동 주최로 열린 한국 금융시장에 대한 해외 투자설명회(IR) 개회사를 통해 "은행권의 경우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기업의 채무상환부담 증가로 자산건전성이 소폭 저하됐으나 팬데믹 이전에 비해 양호한 수준으로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특히 아시아 외환위기 경험 이후 한국 금융당국이 핵심 관리지표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은행 외화유동성 상황도 매우 양호한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