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민간인 학살' 시리아, 12년 만에 아랍연맹 복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랍연맹 22개 회원국 중 13개국 찬성

대지진 이후 사우디가 복귀 여론 주도

'인권 탄압' 알아사드 정권에 사실상 면죄부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중동의 학살자’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온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이끄는 시리아가 12년만에 아랍연맹에 복귀했다. 시리아의 국제무대 복귀는 사실상 알아사드 정권에 대한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동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데일리

아랍연맹 회의 모습.(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일(현지시간) 알자지라방송 등에 따르면 아랍연맹은 이날 이집트 카이로에서 외교장관 회의를 열고 시리아의 회원국 지위를 회복시키기로 결정했다. 22개의 회원국 중 13개 국가가 찬성표를 던졌다. 시리아는 알아사드 정부가 민간인을 포함한 반정부 세력을 무력으로 탄압하자 2011년 아랍연맹 회원국 지위를 정지당했다. 미국과 서방국들은 시리아의 유혈사태가 장기화하자 경제 제재를 강화하며 시리아를 압박했다. 이후 시리아는 국제사회에서 고립됐지만 올 초 시리아 북부를 강타한 대지진 이후 아랍 국가 사이에서 점차 시리아에 온정적인 분위기가 확산됐다.

이런 상황에서 시리아를 결정적으로 도운 나라가 사우디아라비아다. 수니파 종주국을 자처하는 사우디는 시리아 시아파 정부가 수니파 반군을 무력 진압하자 2011년 단교를 선언하고 반군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왔다. 하지만 지난달 파이살 빈 파르한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교장관은 시리아를 찾아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 외교관계 복원 등을 논의했다.

사우디의 외교 방향 전환을 두고 중동의 정치·경제를 주도하길 원하는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사우디는 무함마드 왕세자가 추진하는 대규모 개혁 프로그램인 ‘비전 2030’을 본격화하기 위해 올해 초 오랜 앙숙인 이란과의 관계도 정상화했다. 양국간의 대화 재개를 중국이 중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 중심의 중동 외교 지형이 변화했다는 평가가 나온 가운데 이번 시리아의 아랍연맹 복귀 역시 중동내 미국의 영향력 상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시리아의 아랍연맹 복귀에 대해 알아사드 대통령이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위기를 해결하려는 의지에 의문을 제기하며 “시리아가 아랍연맹에 복귀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영국 외무국제개발부도 “알아사드 정권과의 관계에 반대하고 있다”면서 알아사드 정권이 꾸준히 “무고한 시민을 구금·고문·살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