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유럽연합 "원료의약품 중국 의존도 줄여야"…입법화 나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약품 공급 안보 개선 의지

뉴스1

ⓒ News1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성재준 바이오전문기자 = 유럽에서 원료의약품 또는 활성의약성분(API) 또는 제조에 대한 중국 의존도는 낮추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필수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조치로 최근 발의됐던 '반도체법' 유사한 상황이다.

3일(현지시간) 미국 바이오센추리는 지난 2일 유럽연합(EU) 내 19개 회원국은 유럽위원회(EC)에서 열린 '중대의약품법'(Critical Medicines Act)에 서명했다며 "공급업체나 국가가 적은 제품의 경우, 중요한 의약품 및 성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바이오센추리는 이날 EU 회원국들은 해당 법안에 서명하며 "최근 EU가 의약품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의약품 공급망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 EU는 의약품 공급 안보를 개선하기 위해 보다 과감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법안에서는 특히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강조했다. 지난 2019년 EU지역 내 API 중 약 40% 이상이 중국에서 공급하고 있으며 API 업체 대부분이 중국에 있다는 것이다. 또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에 있는 API 생산업체 또한 중국에서 중간 원료를 공급받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API 제조사 위치와 관계없이 중국산 제품의 비중은 비슷하다는 설명이다.

바이오센추리는 또 해당 법안과 관련된 논페이퍼(자유롭게 기록한 외교문서)는 이번 중대의약품법이 반도체 주요 핵심 원자재 등의 자체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유럽판 반도체법', '핵심원자재법' 등과 비슷한 형태로 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EU가 제안해 완료까지 2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유럽 제약법'을 보완하도록 권한다고 밝혔다.

이미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에스토니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등 정부가 이미 해당 법안을 승인했다.

논페이퍼는 또 중대의약품법 외에도 EU 회원국이 의약품 부족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 제조사 및 유통업체가 참여하는 '단일 매커니즘'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주요 의약품 목록에 대한 공급 생산 및 가치 사슬을 감독하고 의약품 부족 상황이 발생하면 회원국끼리 돕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뉴스1

◇상단의 배너를 누르시면 바이오센추리 (BioCentury)기사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뉴스1 홈페이지 기사에 적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jjsu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