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당론법안 ‘음주운전 방지 장치 부착’ 법안 발의
“대표가 할 만한, 당이 힘 실어야 할 법안 가치 판단”
‘산발적 민생 정책’ 수습, ‘컨트롤 타워’ 필요 지적도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마포경찰서에서 음주운전 방지 장치를 체험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음주운전 방지 대책’으로 민생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효과’에 여당의 정책 행보를 더해 정부여당 지지율 동반상승을 노리겠다는 의도다. 다만 김 대표의 행보를 두고 당대표의 역할은 ‘산발적 민생 정책’에 동참하는 것이 아닌, 정책 전반을 아우르는 ‘민생 컨트롤타워’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대표는 1일 ‘음주운전 방지 장치 부착’을 의무화하는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다. 음주운전 위반자에 한해 음주운전 방지 장치 부착 조건부 운전면허를 발급받도록 하고 음주운전자 본인이 부착 장비의 구입 및 설치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부착기간은 최대 5년으로 하며, 재위반이 없는 경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일반면허로 갱신 가능하다.
개정안은 김 대표 취임 후 국민의힘 ‘1호 당론 입법’이다. 김 대표 측은 당 소속 115명 의원 중 81명이 개정안에 이름을 올렸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달 26일 서울 마포경찰서를 방문해 음주운전 시동잠금장치를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더불어민주당도 비슷한 법안을 이미 제출한 것으로 아는데 함께 입법 추진을 논의하고 여당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내에선 김 대표의 개정안에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김 대표 측에서 이름을 올려달라고 압박하는 듯이 말하는데 어떻게 의원들이 이름을 안 올릴 수 있겠냐”며 “음주운전자가 자비로 200~300만원에 달하는 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것은 국민 관심끌기용 법안밖에 되지 않고 이런 것으로 민생을 챙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당 대표의 역할은 문재인 정부 때 올라간 집값을 어떻게 떨어트릴지 고민하고 당장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당대표가 할 만한, 그리고 당이 힘을 실어야 할 법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치 판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취임 50일을 막 넘긴 ‘김기현 지도부’의 민생 노력은 번번이 실패했다. 당내 특위 활성화를 외친 김 대표가 ‘1호 특위’로 내세운 ‘민생119’는 위원장인 조수진 최고위원의 ‘밥 한 공기’ 발언으로 존재감을 잃었고, 당 정책위원회가 주도하는 ‘빈손’ 당정협의회는 무게감을 잃었다는 것이 주된 평가다.
민생119 관계자에 따르면, 특위는 오는 8일 민생 현장을 방문한다. 이날이 어버이날인 만큼 특위는 노인요양시설에 방문해 돌봄비용 지원 등을 논의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지난주 회의에서) 마약 범죄나 서민 이자 경감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됐다”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에 대한 과도한 국민 우려로 인해 수산업자들이 피해를 많이 봤는데 관련 현장을 방문해 오해를 불식시키자는 제안도 나왔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민생정책의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것이 먼저라는 시각도 있다. 모든 기구를 아우르는 총책임자가 결국 김 대표인 만큼, 사소한 정책에 집중하기 보다 큰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원내지도부 의원은 “김 대표가 ‘민생’에 초점을 맞춰 전면에 세운 기구들이 제기능을 하지 못한다”며 “민생특위에 대해서도 별 기대감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그는 “경제가 이렇게 어려운데 물가나 집값, 하다못해 밥값을 안정시키겠다고 대표가 꾸준하게 임하는 것이 없지 않냐”며 “‘1000원의 아침밥’이 화제가 되니까 대학생들이랑 밥 한 번 먹겠다는 것이 아니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김기현의 국민의힘’은 어떤 어젠다를 실천할 것인지 밝히고 당장 소득이 있든 없든 꾸준히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
newkr@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