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이슈 물가와 GDP

“더 이상 달지 않고 쓰다” 고물가 시대 복병된 설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 국제선물거래소 원당 가격 11년 만에 최고치

‘재고 비축’ 국내 식품업체들도 물가 변동 예의주시

경향신문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랠리의 패자는 식품회사와 소비자 모두일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14일 국제 설탕 가격이 11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고 전하며 이같이 밝혔다. 설탕값 상승이 식품업체들에게 제품 가격 인상을 압박하고,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였다.

일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식재료인 설탕이 고물가 시대 복병으로 떠올랐다.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가격 변동을 부추기면서 먹거리 물가를 위협하는 양상이다. 국내에서는 재고 보유분이 있어 당장 영향은 적지만 장기화 시 식품 가격 인상이 서민 생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미국 뉴욕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거래되는 원당(설탕 원료)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파운드 당 24.85센트까지 올라 2012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 7일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발표한 올해 3월 설탕 가격지수(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놓고 비교) 역시 127.0으로 2016년 10월 이후 최고치였다.

설탕값을 뛰게 만든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날씨’다. 악천후로 주요 생산국들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가격 인상을 불러왔다. 브라질 다음으로 원당 생산량이 높은 인도는 최근 주요 생산지인 중서부 마하라슈트라주에 닥친 폭우로 몸살을 앓았다. 지난달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보고서를 통해 “마하라슈트라주가 향후 몇 년 안에 대규모 홍수와 물 부족, 심각한 폭염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2년째 설탕 수출 제한을 이어가고 있는 인도 식품부의 산지브 초프라 장관은 지난 6일 “때아닌 비로 인해 설탕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라며 “올해 추가 수출 할당량을 허용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호주와 더불어 한국의 주요 원당 수입국인 태국도 기상 악화 탓에 설탕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극심한 가뭄으로 원당 생산에 차질을 빚은 최대 생산국 브라질이 회복세를 보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사탕수수를 설탕뿐만 아니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도 쓴다는 점이 변수다. 유가가 오르면서 설탕보다 대체 연료인 에탄올을 만드는 데 집중할 가능성도 있다.

브라질을 비롯한 남아메리카를 덮친 가뭄은 적도 무역풍이 세게 불면서 서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오르고, 동태평양 수온은 낮아지는 라니냐 현상 때문이었다. 올해는 3년 연속 관측된 라니냐가 사라지고, 반대 현상인 엘니뇨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원자재 무역업체 ‘ED&F MAN’의 연구실장인 코나 하케는 월스트리트저널인터뷰에서 “엘니뇨는 아시아의 건조한 날씨로 이어지고, 이는 인도와 태국의 원당 생산에 대한 위험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식품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앞서 2015~2016년 엘니뇨로 대두, 원당 등 원재료값이 오르면서 식품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원당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선제적인 재고 비축과 수입국 다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보통 원료를 수개월 전에 미리 사두기 때문에 당장 영향이 크진 않다”면서도 “설탕값 상승세가 길어지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