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방통위원 후보 임명 놓고 갑론을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임 추천 정당을 따른다?
사실 예고된 신경전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양당의 입장은 그때그때 달랐다. 우리 당이 유리한 쪽으로 논리를 바꿔왔다. 2014년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김재홍 전 위원을 추천했다. 민주당은 정권이 바뀌어 2017년 '여당'이 됐지만, 김 전 위원의 후임으로 허욱 전 위원을 다시 추천했다. '야당'(국민의힘)의 추천 몫이었던 안형환 전 위원은 당시 '여당'인 자유한국당이 추천한 김석진 전 위원의 후임이었다. 반대 사례도 있다. 문재인 정부 당시 2017년 '야당'(국민의당) 추천으로 자리에 오른 표철수 전 위원은 2014년 박근혜 정부 시절 '야당'(민주당)의 몫으로 추천된 고삼석 전 위원의 후임이었다. 일률적인 규칙보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으로 상황에 따라 움직였기 때문이다.
최 후보가 상임위원 자리에 오르면 당장 인적 구성이 민주당으로 쏠린다. 다만 이 인적 구성이 오래가지는 않는다. 윤 대통령이 지난 5일 퇴임한 김창룡 전 위원 후임을 지명할 예정이다. 또한 7, 8월 한상혁 위원장(대통령 지명)과 김효재(야당 추천), 김현 위원(여당 추천)의 임기가 끝난다. 이후 방통위원 구성은 다시 여야 3대2로 맞춰질 가능성이 높다.
방통위 공백 어쩌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권력·사정기관부터 정치권까지 총동원해 '방통위 털기'에 나서면서 방통위는 3~4개월 동안 '개점 휴업' 상태다. 내부에서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할 정도다. 지난 9월부터 감사원 감사, 세 차례 압수수색, 국과장 인사의 구속, 국무조정실 감찰, 위원장 구속 영장 청구 등이 이어졌다. 2020년 TV조선 재승인 당시 방통위가 심사위원들에게 점수를 낮게 수정하도록 개입했다는 의혹이 방통위를 뒤흔들고 있다.
미디어 업계는 방통위 상임위원 인선 작업 속도도 더딜 것으로 보고 있다. 상임위원 임명 권한은 대통령에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최 전 의원에 대한 방통위원 철회 요구를 국회에서 공식적으로 제기한다면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김창룡 전 위원 후임 인선 작업도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
미디어 업계 관계자는 "한상혁 위원장의 거취가 결정될 때까지 상임위원 인선은 지지부진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면서 "조직을 빠르게 재정비하지 않으면 방통위 분위기는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