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중일, 4년 만의 해양 협의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센카쿠 충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후쿠시마 원전 내에 설치된 오염수 탱크
(후쿠시마=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지난 2일 촬영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내에 오염수를 저장해 놓은 저장 탱크들 모습. 2023.2.6 sungjinpark@yna.co.kr


(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중국과 일본이 해양 현안을 협의하는 양자 회의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센카쿠 열도 문제를 놓고 충돌했다.

11일 교도통신과 NHK에 따르면 양국은 전날 도쿄에서 4년 만에 외교 당국 국장급이 참여하는 해양 협의를 대면으로 개최했다.

중일 해양 협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그동안 온라인으로 개최되다가 2019년 이후 4년 만에 대면 형식으로 열렸다.

중국 외교부는 이 협의에서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국제사회의 우려에 대응해 과학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고 일본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도쿄전력이 오염수를 정화 처리한 후 바닷물로 희석해 해양 방류하는 계획의 안전성을 설명하고 중국이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두지 않은 정보를 대외적으로 알리고 있다고 강력히 항의했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多核種)제거설비(ALPS)로 정화 처리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올해 봄이나 여름부터 해양 방류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은 또 자국이 실효 지배하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주변 해역에서 중국 관공서 소속 선박이 영해 침입을 반복하는 것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센카쿠열도는 중국과 일본 사이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다.

일본은 중국이 러시아와 연계해 일본 주변 해역에서 군사 활동을 활발히 하는 데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

양국은 일본 자위대와 중국군의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방위 당국 간 핫라인이 설치된 것을 환영하며 신뢰를 쌓기 위해 해상보안 당국 교류를 진행하는 등 의사소통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센카쿠 열도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